10년도 훨씬 넘은 이야기다. 경기도 평택에 유명세를 떨치던 냉면집이 있었다. 남쪽으로 출장을 갔다 돌아오는 길이면 아무리 피곤해도 이 집에서 냉면을 먹곤 했다. 고속도로 나들목과 평택 시내 냉면집 사이의 거리가 웬만했으니 동행한 동료들은 극성깨나 떤다고 비웃었을 것이다. 그렇게 즐겨 찾았지만 냉면집을 일으켜 세운 주인이 어느 날부터 보이지 않았다. 아들에게 가게를 물려준 것인데, ‘신세대식 경영 합리화’가 시작된 이후 이 집의 명성은 조금씩 퇴색하기 시작했다. 이후 자연스럽게 냉면을 먹겠다고 일부러 먼 길을 돌아가는 일도 하지 않게 됐다.
내가 사는 파주에는 그럴듯한 막국수집이 하나 있다. 주인 영감은 그동안 추워지는 11월 말이면 가게 문을 닫고, 이듬해 봄에 다시 문을 열었다. 그런데 지난 겨울 주변을 지나다 보니 문을 열어 놓은 것이 아닌가. 영감 대신 아들이 막국수를 만들고 있었지만 맛은 전과 같지 않았다. 그런데 따뜻했던 며칠 전 다시 찾으니 옛날 맛이 돌아와 있었다. 주방을 들여다보니 주인 영감이 보였다. 지난 겨울에는 문을 열었으되 열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하면 중년의 아들은 기분이 어떨지 모르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내가 사는 파주에는 그럴듯한 막국수집이 하나 있다. 주인 영감은 그동안 추워지는 11월 말이면 가게 문을 닫고, 이듬해 봄에 다시 문을 열었다. 그런데 지난 겨울 주변을 지나다 보니 문을 열어 놓은 것이 아닌가. 영감 대신 아들이 막국수를 만들고 있었지만 맛은 전과 같지 않았다. 그런데 따뜻했던 며칠 전 다시 찾으니 옛날 맛이 돌아와 있었다. 주방을 들여다보니 주인 영감이 보였다. 지난 겨울에는 문을 열었으되 열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하면 중년의 아들은 기분이 어떨지 모르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3-2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