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인간의 짝짓기/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인간의 짝짓기/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15-05-04 18:10
업데이트 2015-05-04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탐험가들은 19세기 중엽 뉴기니 정글에서 직경 2m에 높이 1m가 넘는 호화 찬란한 오두막들을 발견했다. 다양한 꽃과 과일 등으로 구성된 이 오두막은 열대지방 특유의 색채와 화려한 디자인을 자랑하고 있어 예술 작품을 보는 듯한 충격에 빠졌다고 한다.

놀랍게도 이 오두막의 주인공은 인간이 아니라 어치-까마귀과에 속하는 바우어새다. 비둘기보다 좀 큰 놈인데,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모델 하우스다. 암컷은 누구와 짝을 지을지 결정하기 전에 수컷들이 지어 놓은 집들을 전수 조사한다. 자신보다 수백 배 무거운 집을 짓는 체력과 인내력은 물론 복잡한 디자인을 실현하는 영리함까지 종합 판단한다. 암컷 바우어새는 자신은 물론 새끼의 생존과 직결된 선택이라 몇 날이고 내부까지 샅샅이 둘러볼 정도로 신중하다.

이런 바우어새와 비교하면 인간들의 배우자 선택 방식은 한심하기 짝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눈에 보이는 외모와 부의 과시에 이끌려 정작 중요한 것들은 가끔 까먹는 족속들이 아닌가. 유명 연예인이나 아나운서들이 법정에서 벌이는 이혼 소송을 보게 되면 바우어새가 떠올라 웃음을 짓곤 한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2015-05-05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