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앞에 개 한 마리가 어슬렁거리며 걸어온다. 주인이 옆에 있지만 목줄이 없다. 어떻게 하지? 피할까? 근데 내가 왜 피해야 하지?’
아파트 인근 산책로에서 가끔 겪는 상황이다. 우습게 보이겠지만 현실이다. 어릴 때부터 개가 무서웠다. 특별히 물린 기억도 없는데 이유를 모르겠다. 어쩌면 개에게 물리긴 했는데 너무 어려 기억이 나지 않는지도 모른다. 트라우마라는 게 본래 기억하지 못하는 사건과 현재의 비슷한 상황이 겹칠 때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개 주인에게 항의도 몇 번 해 봤다. 목줄 좀 매서 다니라고. 그러면 대개 이렇게 말한다. “우리 개는 절대 안 물어요.” 하긴 산책하다 물린 적은 없다. 그래도 본능적으로 무섭다. 걸어가는데 별안간 달려들 것만 같다. 며칠 전 정말 그런 상황이 닥쳤다. 산책로는 아니고,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다. 20대 후반쯤 된 젊은이가 목줄 없이 강아지와 함께 다가오고 있었다. 다섯 걸음쯤 남았을까, 강아지가 갑자기 달려든다. 물려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무척 놀라 순간적으로 비명을 질렀다. 그제야 강아지를 불러들이는 주인의 얼굴에 ‘웬 호들갑이냐?’는 표정이 역력하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아파트 인근 산책로에서 가끔 겪는 상황이다. 우습게 보이겠지만 현실이다. 어릴 때부터 개가 무서웠다. 특별히 물린 기억도 없는데 이유를 모르겠다. 어쩌면 개에게 물리긴 했는데 너무 어려 기억이 나지 않는지도 모른다. 트라우마라는 게 본래 기억하지 못하는 사건과 현재의 비슷한 상황이 겹칠 때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개 주인에게 항의도 몇 번 해 봤다. 목줄 좀 매서 다니라고. 그러면 대개 이렇게 말한다. “우리 개는 절대 안 물어요.” 하긴 산책하다 물린 적은 없다. 그래도 본능적으로 무섭다. 걸어가는데 별안간 달려들 것만 같다. 며칠 전 정말 그런 상황이 닥쳤다. 산책로는 아니고,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다. 20대 후반쯤 된 젊은이가 목줄 없이 강아지와 함께 다가오고 있었다. 다섯 걸음쯤 남았을까, 강아지가 갑자기 달려든다. 물려는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무척 놀라 순간적으로 비명을 질렀다. 그제야 강아지를 불러들이는 주인의 얼굴에 ‘웬 호들갑이냐?’는 표정이 역력하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5-12-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