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어떤 버릇/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어떤 버릇/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3-03 18:06
업데이트 2016-03-03 18: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온라인뉴스 부서에 몇 년 근무한 뒤부터 못된 버릇이 하나 생겼다. 대화 중 디지털 콘텐츠 관련 화제가 나오면 자꾸 앞에 나서려 하는 것이다. 나 스스로 한참 부족함을 알면서도 누군가 좀 어설프다 싶으면 부지불식간에 끼어든다. 그 파트에 갓 입문한 사람들과 있을 때 더 그렇다. 하지만 곧 후회한다. 혹여 자문을 하면 모를까, 먼저 나서는 것은 결국 아는 체하는 것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나름 소신을 갖고 일하는 상대에 대한 예의에도 어긋난다.

‘내가 해 봐서 아는 데…’ 유의 어법은 실상 상대에겐 ‘공자 앞에서 문자 쓰니?’란 오만으로 비치기 쉽다. 얼마 전 ‘성완종 리스트’ 사건 재판에서 검사 출신의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검사들에게 “나도 수사를 잘 안다”며 호통을 쳤다는 소식을 듣고도 비슷한 생각을 했다. 논어 ‘팔일’(八佾) 편에 보면 공자가 태묘(太廟)에 들어가 참배 절차를 일일이 관리인에게 물었다고 한다. 이를 보고 누군가 ‘예(禮)에 정통하다는 공자가 관리인보다도 못하다’고 조롱하자 공자는 “태묘에 들어왔으면 태묘 관리인에게 물어보는 게 예다”라고 답했다. 간혹 잘 알면서도 모른 체 묵묵히 들어 주는 이를 보면 존경심이 우러난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3-0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