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천덕꾸러기/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천덕꾸러기/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17-03-02 22:22
업데이트 2017-03-02 2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청동 한옥 마을을 걷는다. 툇마루에 드는 햇살을 보면서 문득 낡음에도 시간의 무게만큼이나 소중함이 깃들어 있다는 생각이 미친다. 새로운 것은 잠깐이나마 눈길을 잡아 두는 힘이 있지만 오랜 시간 마음까지 빨아들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음식도 마찬가지다. 곰삭은 묵은지나 수십 년 전통을 자랑하는 설렁탕 집에서 느끼는 그 깊은 맛은 영혼까지 흔들 정도로 여운이 있다. 햄버거와 콜라의 맛에 길든 인스턴트 세대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모를 맛일 게다. 어릴 적 느낀 그 강렬한 맛의 경험이 뇌 세포 어디엔가 각인된 DNA처럼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사라지지 않는 모양이다.

낡음이 사람에게 적용되면 육체적 노후를 의미할 텐데, 여기선 다소 이율배반적이 된다. 대표적인 것이 세월로 물들인 머리카락이 아닐까 한다. 간혹 거울 앞에 서면 산전수전 함께해 온 동지 같은 친근감도 있지만 노쇠함의 현장 증인처럼 지켜보는 느낌도 든다. 흰 머리카락은 젊어지고 싶은 본능 앞에서 가끔 천덕꾸러기가 된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2017-03-0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