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사회의 창’/황성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사회의 창’/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18-10-14 22:40
업데이트 2018-10-14 2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누군가의 바지 지퍼가 내려왔을 때, 지적하는 사람이나 지적당하는 사람의 창피를 조금이라도 덜도록 ‘남대문이 열렸다’라는 말을 쓴다. 배려일 것이다. 이런 배려의 말이 세계 여러 나라에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직설적으로 ‘Your flies are open’이라고도 하지만 ‘Examine Your Zipper’를 에둘러 ‘XYZ’라고도 한다. 러시아에서는 ‘24시간 소시지 파는 건가’, 대만에서는 ‘스먼(石門) 댐이 열렸다’라고 표현한다.

일본 작가 이쓰키 히로유키의 에세이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그가 지방에 강연 갔을 때이다. 동행한 방송국의 여성 프로듀서가 “선생님, 사회의 창이…”라고 말을 잇지 못했다. 지퍼가 열린 것도 부끄러웠지만, 나이 어린 프로듀서가 ‘사회의 창이 열렸다’란, 지금은 잘 쓰지 않아 사어(死語)에 가까운 속어를 알고 있는 데 더 놀란 그였다. 1948년부터 1960년까지 방송된 NHK 라디오 프로그램 ‘사회의 창’은 일본의 어두운 면을 폭로하는 내용이었는데, 중요한 것을 감추는 장소라는 이미지로 변하면서 남자 바지의 지퍼라는 뜻도 갖게 됐다.

밖에 나서기 전 ‘남대문’을 체크하는 버릇이 몸에 배어 여간해서는 없지만, 경황이 없으면 가끔씩 문을 열고 다닌다. ‘사회의 창’, 댐 잘 닫읍시다.

황성기 논설위원 marry04@seoul.co.kr

2018-10-1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