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JSA의 추억/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JSA의 추억/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8-10-18 17:14
업데이트 2018-10-19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2년 전인 1986년, 이 무렵 JSA(공동경비구역)는 신병 충원을 두 가지 방법으로 했다. 한번은 논산훈련소에서 무술 유단자들을 뽑아 신병으로 채웠다. 또 다른 방식은 미군과 부대생활을 함께한다는 점을 감안해 영어에 능통한 카투사(KATUSA) 신병 중에서 신체 건강한 훈련병을 착출했다. 논산훈련소를 거쳐 평택 신병교육대에서 미군부대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훈련을 받던 카투사 신병들에게는 JSA 부대원으로 선발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늘 있었다.

1976년 8월 18일 북한군이 도끼로 미군 장교 2명을 살해한 JSA는 어느 곳보다 위험한 근무지였기 때문에 군기가 셌다. 어느 날 불시에 들이닥친 JSA 부대원들이 신병들을 키 순서로 세우더니 몸 상태를 점검한 뒤 6명을 데려갔다. 전역 이후 JSA부대원으로 착출된 동기생 중 한 명을 만났다. 그는 24세의 건장한 나이에도 지네 피를 담은 물통을 들고 다녔다. JSA부대원으로 근무 중에 너무 많은 구타를 당해 가슴에 멍이 들었는데 ‘피멍을 빼는 데는 지네 피가 최고’라는 얘기가 있어 수시로 마신단다. JSA가 민간인과 관광객들도 남북을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로 바뀐다고 한다. 해병대와 공수부대보다 군기가 셌던 JSA시대도 막을 내리고 있다.

jrlee@seoul.co.kr

2018-10-1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