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땅강아지/이두걸 논설위원

[길섶에서] 땅강아지/이두걸 논설위원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8-10-21 23:10
업데이트 2018-10-22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주말 충남 서천의 처가를 방문했다. 황금빛으로 물든 들녘을 걷다가 수풀 사이로 무언가 꾸물거리는 게 눈에 들어왔다. 손가락 마디만 한 갈색의 곤충이 바둥대며 몸을 숨기고 있었다. 순간 눈을 의심했다. 땅강아지였다.

‘사실상’의 내 고향은 서울이지만 외곽에서 자라 반농반도(半農半都) 출신에 가깝다. 어릴 적 서울 외곽은 논밭이 지천이었다. 집에서 10여분만 걸어 나가면 논두렁을 쉽게 밟을 수 있었다. 땅강아지에 대한 기억은 어렴풋한 수준이다. 그러나 조심스레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꿈틀대던 땅강아지의 움직임은 손끝에서 생생하게 남아 있다. 오감의 여느 감각 못지않게 촉각 역시 기억의 훌륭한 그릇이다.

곤충은 영 정이 안 간다. 모기를 히스테리에 가까울 정도로 싫어한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대학 시절 여러 차례 농촌 봉사활동을 떠났으면서도 귀농은 언감생심인 까닭이다. 그럼에도 곤충은 죄가 없고, 화살은 스스로에게 돌려야 한다는 점도 잘 안다. 오염된 토양에서 서식할 수 없다는 땅강아지에게 ‘삶의 터전’을 보장하는 건, 하찮은 도덕심이나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의 발로가 아닌, 지구상에 존재하는 우리 모두를 위해서라는 걸 다시 깨닫는다.

douzirl@seoul.co.kr
2018-10-22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