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꽃보다 아름답나니/김성곤 논설위원

[길섶에서] 꽃보다 아름답나니/김성곤 논설위원

김성곤 기자
입력 2018-11-07 22:40
업데이트 2018-11-08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뭇사람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단풍철이 끝나가고 있다. 설악산에서 시작해 한라산에 이르러 마감하는 단풍은 10월 한 달이 정점이다. 이 즈음엔 어디를 가도 지천에 단풍이다. 잎이 10개 안팎으로 갈라지는 당단풍은 물론이고, 홍단풍, 아기단풍, 느릅나무, 고로쇠나무, 피나무, 은행나무…. 길가에 나뒹구는 플라타너스 너른 잎도 나름의 색깔로 가을을 전한다. 한바탕 추위가 지나간 뒤에 다시 포근한 가을이 찾아와서인지 마지막 길을 재촉하는 단풍은 곱기만 하다. 햇살이 좋고, 일교차가 크면 단풍이 깊다더니 맞는 말인 것 같다.

이름이 나기로는 설악산과 오대산, 주왕산, 내장산을 손에 꼽지만 태백산 서리가 녹아 붉은 속살이 드러난 주목을 보고 난 뒤 하산길 유일사 입구에서 만나는 단풍도 설악산 못지않다. 북한산 오르는 길목에 이슬 머금은 선지처럼 붉은 단풍은 이른 아침 부산을 떤 데 대한 보상인가. 꽃은 꺾어서 집에 두지만, 단풍은 눈으로 느끼고, 가슴에 담아 집으로 가져온다. 엽록소의 파괴로 생겨나는 과학적 현상이라지만 단풍은 꽃보다 아름답고, 깊은 맛이 있다. 늙어가는 것에 꼭 추한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새삼 “잘 물든 단풍은 봄꽃보다 아름답다”는 법륜 스님의 말씀이 마음에 와닿는다.

김성곤 논설위원 sunggone@seoul.co.kr

2018-11-0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