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도심의 길섶/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도심의 길섶/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0-01 17:12
업데이트 2019-10-02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길 모퉁이에 잡초들이 자기들만의 세상을 이루었다. 무명초, 잡풀로 멸시받지만 어엿한 이름을 가진 풀들.

흔하디 흔한 삐쭉삐쭉한 풀 이름이 ‘바랭이’란다. ‘큰 김의 털’, ‘오리새’, ‘강아지풀’도 어우려졌다. 잎이 넓적한 것으로는 질경이나 씀바귀가 대세지만 ‘개망초’, ‘장구채’, ‘가시상추’, ‘마디풀’, ‘지칭개’ 같은 정겨운 이름도 있다.

그 좁고 메마른 시멘트 구석을 파고든 잡초들에게 사람들은 눈길 한번 주지 않는다. 인도 한가운데 보도블록 틈새까지 씨를 날려 진출한 것들은 사정없이 밟고 지나간다. 무자비한 인간의 손길에 뿌리째 뽑히지 않는 것만 해도 다행이라고 잡초들은 생각할까.

제 몸의 생채기를 소낙비로 추스르고 꿋꿋하게 견뎠다. 한여름 거센 질풍을 버틴 잡초가 올가을엔 유난히 무성하다. 삭막한 도심에 근사한 길섶을 차린 하찮은 것들의 반란이 대견스럽다.

잡초는 아무리 짓눌려도 쉬 상처받지 않는다. 거친 밥에도 투정부리지 않는 착한 아이처럼 한 줌도 안 되는 흙 속에도 포기하지 않고 아래로 아래로 뿌리를 내려 생(生)을 부여잡는다.

형형색색 화사한 화원의 꽃보다 잡초는 그래서 더 아름답다. 잡초는 죽지 않고 오늘도 꿈을 꿀 뿐이다.
2019-10-02 3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