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코로나19 백신/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코로나19 백신/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20-03-30 17:40
업데이트 2020-03-31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26일은 소아마비(Polio) 백신 개발자인 조너스 소크가 백신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날이다. 67년 전의 일이다. 지금은 이 소아마비 환자를 우리나라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전 세계적으로도 아주 적은 수의 나라를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하지만 19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전 세계에서 매년 50만명의 소아마비 환자가 발생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 대통령도 39세 나이에 소아마비에 걸려 평생 왼쪽 다리의 장애를 겪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50년대까지 매년 2000여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그런데 1984년 이후로는 소아마비 환자가 한 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바로 소크가 개발한 백신 덕분이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제약회사에 백신을 판매해 억만장자가 될 수 있었던 소크는 당시 기자회견에서 “특허권은 없어요. 태양에도 특허권이 없잖아요”라며 특허권을 포기하고 백신 생산법을 공개했다. 값싸게 백신이 보급되니 이 병을 빠르게 퇴치할 수 있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에 창궐하면서 각국이 백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에서도 진행 중인 코로나 치료제 임상시험 건수가 6건에 달한다고 한다. 신속한 백신 개발도 중요하지만, 개인이나 기업의 이익이 아닌 공공의 이익을 앞세운 ‘소크의 정신’을 보고 싶다.

jrlee@seoul.co.kr
2020-03-31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