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유언/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유언/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7-06 20:14
업데이트 2020-07-07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죽음은 작은 우주의 소멸이다. 생명의 빛이 희미해지는 순간 덧없어진다. 임종(臨終)에 모든 걸 내려놓음은 필연이다. 그럼에도 내려놓기는 쉽지 않다. 한 생에 걸쳐 못다 이룬 가치와 목표에 대한 아쉬움을 어찌 부정하겠는가. 미련, 집착 따위와는 차원이 다르다. 대를 이어 언젠가 실현되길 바라는 마음 또한 당연하다. 예컨대 ‘결코 비정규직을 쓰지 마라’는 경영철학을 유언으로 남긴 훌륭한 기업이 있기도 하다.

필부의 유언은 별것 없다. 집은 첫째가 갖고 밭뙈기는 둘째가 가져라, 나는 어디어디에 묻어다오, 보증은 절대 서지 마라, 빚이 얼마 있으니 갚아라 등의 유언을 한다. 유산은 매우 복잡한 절차를 거쳐 법에 따라 상속받곤 한다. 또한 형제끼리 우애하며 지내라, 너희 노모 잘 모셔라, 죄짓지 말고 살아라 등 유언은 부모의 마지막 가르침이다. 평범하기 짝이 없지만 누군가에게는 평생에 걸친 금과옥조가 되기도 한다.

최근 김대중·이희호 부부의 자식 사이에 유언의 법적 효력 여부를 따지는 다툼이 한창이다. 남의 집안일에 끼어들 이유는 없지만 씁쓸하다. 사회적으로 존경받은 전직 대통령 부부가 자식들에게 남긴 것이 단순한 재산만은 아닐 텐데 말이다. 드높은 이상과 가치는 어디로 간 건지.

youngtan@seoul.co.kr

2020-07-0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