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호기심 교육/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호기심 교육/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7-15 20:40
업데이트 2020-07-16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기심과 창의력은 동전의 양면인 듯하다. 궁금한 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 커지고 번득이는 아이디어가 나온다. 유대인들은 아이가 귀가하면 ‘오늘 뭘 배웠느냐’가 아닌 ‘오늘 뭘 질문했느냐’고 묻는단다. 영화계의 거장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어릴 때 왜소한 체격 때문에 놀림을 당하면서 외톨이가 됐지만 호기심 많은 성격이 독창성으로 연결된 사례다. 그의 어머니는 ‘남들처럼 잘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고 호기심을 마음껏 표출하도록 키웠다’는 회고를 남겼다. 천재로 불렸던 아인슈타인 역시 어릴 적부터 남들이 무심히 지나친 밤하늘을 보며 의문을 갖고 그만의 독창적 이론을 정립했다. 어릴 적 암기를 강요하는 학교 분위기 때문에 신경쇠약에 걸렸다는 일화도 있을 정도다.

한국 유학생들이 미국이나 유럽 명문대에서 애를 먹는 것은 주입식에 익숙한 교육 풍토 때문이라고 한다. 일정 부분 수동식 암기 교육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능력을 평가하는 전부는 아니다.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네오필리아)은 인류의 위대한 본능이다. 뜻도 모르고 달달 외우는 암기식 교육은 창조 에너지를 고갈시킬 수 있다. 호기심을 더 큰 호기심으로 키우는 교육이 싹을 틔우는 모습을 보고 싶다.

oilman@seoul.co.kr
2020-07-1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