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 입구, 조그마한 사찰이 눈에 띈다. 입구 정문 게시판에 ‘코로나19로 인해 내방객을 받지 않는다’는 알림 문구가 보였다. ‘이 힘든 시기에 강도 높은 거리두기 여파가 종교계까지 미쳤구나’ 하는 생각을 할 찰나, 그 옆 공간에 다른 글귀가 눈에 들어왔다. ‘우리가 불행한 삶을 만났을 때 우리는 두 가지 방법으로 반응할 수 있다. 희망을 잃고 자신을 파괴하는 습관에 빠지거나, 아니면 우리 내면의 힘을 찾기 위해 도전하거나….’
전대미문의 코로나19를 맞는 우리 속세 인간들의 고통과 번민을 어쩌면 이렇게 잘 표현했나 싶었다. 내친걸음 둘레길을 걷다 도저히 생명을 잉태할 수 없을 것 같은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를 보았다. 척박한 환경에서 질긴 생명력을 이어 온, 그 처절함과 의연함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심정이다.
그 끝을 알 수 없는 불안감과 두려움에 떨고 있으면서도 희망의 싹을 찾으며 원초적 생명의 힘으로 버티는 요즘이다.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던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희망이란 감정을 끄집어내 우리 DNA에 촘촘히 아로새겨 놓았다고 한다. 지금처럼 힘든 시기 ‘슬픈 날을 참고 견디면 즐거운 날이 오고야 말리니’라고 쓴 푸시킨의 시구가 더욱 가슴에 와닿는다.
oilman@seoul.co.kr
전대미문의 코로나19를 맞는 우리 속세 인간들의 고통과 번민을 어쩌면 이렇게 잘 표현했나 싶었다. 내친걸음 둘레길을 걷다 도저히 생명을 잉태할 수 없을 것 같은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를 보았다. 척박한 환경에서 질긴 생명력을 이어 온, 그 처절함과 의연함에 박수를 보내고 싶은 심정이다.
그 끝을 알 수 없는 불안감과 두려움에 떨고 있으면서도 희망의 싹을 찾으며 원초적 생명의 힘으로 버티는 요즘이다.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던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희망이란 감정을 끄집어내 우리 DNA에 촘촘히 아로새겨 놓았다고 한다. 지금처럼 힘든 시기 ‘슬픈 날을 참고 견디면 즐거운 날이 오고야 말리니’라고 쓴 푸시킨의 시구가 더욱 가슴에 와닿는다.
oilman@seoul.co.kr
2020-09-14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