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슬기로운 카드생활/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슬기로운 카드생활/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2-14 02:52
업데이트 2024-02-14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용카드사에서 문자가 왔다. 사용 중인 카드의 유효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알림이었다. 통신비 할인 혜택이 커서 지난 5년간 아주 유용하게 활용해 온 카드인데 이제는 단종이 돼서 재발급을 받을 수 없다고 했다.

혜택이 좋아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기 높은 ‘알짜 카드’가 단종되는 사례는 흔하다. 소비자 입장에선 불만이지만 수익성을 따지는 카드사로선 합리적인 경영 행위다. 지난해 고금리 장기화로 카드사 수익이 악화되면서 신규 발급을 중단한 카드 수가 신용카드 405종, 체크카드 53종으로 역대 최대였다고 한다.

아쉽지만 어쩌겠나. 대체할 만한 다른 카드를 찾을 수밖에. 그런데 이런저런 카드 상품을 들여다볼수록 골치만 아프다. 연회비와 전월 실적 조건까지는 대강 알겠으나 적립 조건이나 적립률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렵다. 카드 대금은 빚인데 이참에 신용카드를 없애고 체크카드만 사용할까. 슬기로운 카드생활을 위한 고민이 깊어진다.
이순녀 논설위원
2024-02-14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