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추사박물관/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추사박물관/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3-06-01 00:00
업데이트 2013-06-01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천은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생애 마지막 4년을 보낸 고장이다. 추사는 1852년 함경도 북청에서의 귀양살이가 풀리자 과천에 자리잡았다. 아버지 김노경이 청계산 자락에 지어 과지초당(瓜地草堂)이라고 이름 붙인 별장을 아예 본가로 삼은 것이다. 추사는 과지초당 뒷산에 아버지의 무덤을 썼고 여막에서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기도 했다. 과천의 추사는 당대 명사들과 교유하며 이야깃거리를 남겼고, 글씨도 부지런히 썼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글씨도 분류가 쉽지 않을 만큼 많다고 한다. 인연이 깊은 장소에 추사의 예술과 역사를 담은 공간이 세워진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경기 과천시가 건립을 주도한 추사박물관이 오는 3일 문을 연다. 이 박물관 하나만으로도 계획적으로 조성된 행정도시의 이미지가 강했던 과천시를 역사적 배경을 가진 문화도시로 다시 보게 만든다.

추사는 과천의 산천과 인심에 호감을 느꼈던 듯하다. 제자이자 누님의 사위인 조면호가 과천으로 이사하겠다고 하자 ‘과천 땅의 산빛은 밥을 지어 먹을 만하고, 시냇물은 떠 마실 만하다네’라며 재촉하기도 했다. 이 시절의 글씨에 대부분 과(果)자 낙관(款)을 한 것도 애정의 일부일 것이다. 과천에 사는 늙은이라는 뜻으로 노과(果)·과형(果兄)·과산(果山)을 즐겨 썼고, 청계산과 관악산 사이에 사는 사람이라며 청관산인(靑冠山人)이라고 낙관하기도 했다. 극도의 경지에 이르면 오히려 천진난만해 보인다는 이른바 대교약졸(大巧若拙)의 상징처럼 받들어지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의 판전(板殿) 현판에도 칠십일과 병중작(七十一果 病中作)이라는 낙관이 보인다. 71세 과천 노인이 와병 중에 쓴 작품이라는 뜻이다. 추사는 이 글씨를 쓰고 사흘 만에 세상을 떠났다.

박물관의 전시는 과천 시절에 국한하지 않고 추사의 전 생애를 조명한다. ‘후지쓰카 기증실’도 눈길을 끈다. 후지쓰카 지카시는 경성제국대 교수를 지낸 추사연구가이다. 소전 손재형의 정성에 감복해 ‘세한도’(歲寒圖)를 넘겨준 일화는 유명하다. 그의 아들 후지쓰카 아키나오는 물려받은 추사 자료 1만 5000점을 2006년 과천시에 기증했다. 추사박물관의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 한문교사였던 아키나오는 어려운 살림에도 자료를 한 점도 팔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도쿄대에서도 기증해 달라고 했지만 도서관에서 먼지만 쌓일 것”이라면서 “과천시의 노력에 신뢰가 갔다. 잘 활용해 달라”는 당부만 남겼다. 후지쓰카 집안에 경의를 표하면서, 이들의 풍모에 국제적 지식인이었던 추사의 영향도 없지 않았을 것이라는 상상도 해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6-01 2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