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패륜범죄와 물신주의/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패륜범죄와 물신주의/박현갑 논설위원

입력 2013-09-28 00:00
업데이트 2013-09-28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 농경사회는 하늘로 상징되는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사회였다. 그리고 도리를 소중히 여겼다. 천륜(天倫). 부모와 자식, 형제의 도리다. 하늘이 맺어 주었으니 인간이 끊지 말아야 함을 뜻한다. 이를 끊게 되면 패륜(悖倫)이 된다. 그런데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런 일이 갈수록 늘고만 있으니 조상들이 보면 참으로 놀랄 일이다.

50대 어머니가 결혼하는 20대 아들에게 1억원으로 빌라를 마련해 준다. 도박 등으로 생활고에 내몰린 아들은 빌라를 어머니 몰래 처분한다. 8000만원의 빚 때문에 어머니에게 1억원을 요구하다 모자 관계에 금이 간다. 결국 아들은 어머니와 30대 형을 살해한다. 형의 시신은 들어서 옮기기 불편하다고 절단까지 했다고 한다. 이른바 ‘인천 모자(母子) 실종 사건’을 저지른 둘째 아들의 존속살인 행각이다. 살인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받던 며느리는 수사 받는 도중 억울하다며 자살해 충격을 더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무직인 20대 아들이 고교 동창 등과 함께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했다.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는다는 게 살해 이유였다. 올 초 1월 전북에서는 보험금을 노린 20대 아들이 집 안에 연탄불을 피워 부모와 형을 살해한 사건도 있었다.

돈 때문에 부모 등 친족을 살해하는 패륜범죄가 증가추세다. 경찰이 지난해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강기윤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2년 8월까지 모두 10만 2948명이 패륜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집계됐다. 2008년 2만 6019명, 2009년 2만 4302명, 2010년 2만 171명, 2011년 1만 8901명, 지난해 8월 현재 1만 3555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식이 부모를 죽이는 존속살해는 2008년 45건, 2009년 58건, 2010년 66건, 2011년 68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어 충격적이다.

패륜범죄는 물신주의, 물질만능주의가 우리에게 던지는 경고다. 농경사회에서 산업화·정보화를 거치면서 현대사회는 물신주의가 지배하는 사회가 되고 있다. 법과 원칙, 윤리의식을 무너뜨리는 이기심이 커지면서 공동체의식이 파괴되고 있다. 정경유착, ‘무전유죄 유전무죄’는 물신주의의 또 다른 이름이다. 청소년의 물신주의 오염도 우려스럽다. 올 초 흥사단 투명사회운동본부가 초·중·고교생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고교생의 44%가 ‘10억원이 생긴다면 1년간 감옥행도 무릅쓰겠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성인이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끔찍하다. 가정의 밥상머리에서부터 윤리성 회복을 위한 고백과 대화의 시간을 가져야 할 때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3-09-2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