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안철수와 스티브 잡스/박홍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안철수와 스티브 잡스/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5-12-15 23:42
업데이트 2015-12-16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존 스컬리(76)는 마케팅의 귀재로 불렸다. 28세에 사원으로 펩시콜라에 발을 디뎠다. 불과 3년 만인 1970년 마케팅을 총괄하는 부사장에 올랐다. 입사한 지 10년 만에 사장이 됐다. 펩시 사상 최연소다. 코카콜라에 밀려 바닥을 기던 펩시를 라이벌로 끌어올렸다. ‘펩시 세대’라는 광고 전략을 통해서다. 1975년 펩시콜라와 코카콜라의 블라인드 테스트 광고가 결정적이었다. 시음토록 한 뒤 더 마음에 드는 콜라를 선택하도록 한 광고였다. 코카콜라에 뒤진다는 기존의 인식을 깨고 경쟁자라는 이미지를 심은 것이다.

스티브 잡스(1955~2011)는 애플의 창업자다. 잡스가 스컬리에게 애플의 CEO를 제안했다. 스컬리는 한동안 머뭇거렸다. 잡스의 설득은 계속됐다. 한마디를 던졌다. “설탕물을 팔면서 남은 인생을 낭비하고 싶습니까. 아니면 나와 함께 세상을 바꿔 보고 싶습니까.” 스컬리는 1983년 애플의 CEO로 자리를 옮겼다. 죽이 잘 맞았다. 그러나 1984년 애플의 야심작 매킨토시가 출시되면서 멀어졌다. 엄청나게 광고비를 쏟아부었던 매킨토시의 반응은 싸늘했다. 애플이 휘청거렸다. 잡스와 스컬리의 갈등도 커졌다. 잡스는 이사회를 열고 ‘CEO로 잡스냐 아니면 스컬리냐’를 의제로 올렸다. 스컬리의 팔이 올라갔다. 잡스는 1985년 5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괴팍한 성격도 한몫했다. 스컬리는 평소 “애플은 나와 잡스라는 하나의 지도자를 갖고 있다”고 호언장담했던 터다. 스컬리에게는 이후 ‘잡스를 쫓아낸 인물’이라는 꼬리표가 붙어 다녔다.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안철수 의원이 엊그제 혼잣말로 스티브 잡스 얘기를 꺼냈다. “스티브 잡스가 애플 창업주였는데 당시 존 스컬리에게 쫓겨났습니다. 그다음은 잡스의 몫인 거죠. 그다음 결과들은….” 새정치연합 ‘공동 창업주’인 자신의 탈당을 잡스에 비유해 ‘쫓겨났다’고 표현한 것이다. 사실관계를 떠나 스컬리는 문재인 대표인 격이다.

안 의원 말대로 “그다음 결과들은…”이 핵심이다. 애플은 1996년 새로운 운영체계를 찾다 잡스가 애플을 떠나 설립한 넥스트(NeXT)사를 인수했다. 잡스에게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12년 만의 애플 복귀다. 다시 애플의 CEO를 맡을 때 “연봉 1달러만 받겠습니다. 꿈을 이룰 수 있는 회사라고 믿기 때문”이라고 했다. 잡스는 종종 “잘하고 좋아하는 것은 재능있는 인재들을 찾아내서 그들과 함께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말하곤 했다. 현재 애플 CEO인 팀 쿡(56)은 면접 시작 5분 만에 합류를 결정했다. 잡스가 ‘쫓겨나’ 또 다른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작품인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없었을지 모른다. 지금의 애플도 마찬가지다. 안 의원은 “정권교체를 위한 정치세력화”를 탈당 명분으로 내세웠다. 잡스가 이뤄 낸 ‘그다음 결과들은’ 전적으로 안 의원의 몫이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5-12-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