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유가(油價) 치킨 전쟁/오일만 논설위원

[씨줄날줄] 유가(油價) 치킨 전쟁/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3-10 17:56
업데이트 2020-03-11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현대문명은 석유문명이다. 인류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자 모든 산업의 중추신경이다. 석유는 국가의 생존 그 자체이다. 이런 이유로 석유를 둘러싼 쟁탈전은 ‘포성 없는 전쟁’으로 비유됐다.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패권을 다퉜던 미국과 러시아까지 합세했다. 국가의 존망과 패권의 향배가 얽혀 있어 복잡한 구도다. 이런 석유전쟁이 다시 발발할 조짐이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非)OPEC 10개 주요 산유국이 추가 감산을 논의했지만 실패했다. 러시아의 반대 때문이다. 즉각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와 브렌트유는 30% 가까이 폭락하며 배럴당 30달러에 근접했다. 1990년대 초 걸프전 이후 30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배럴당 20달러로 폭락할 것이란 공포감이 세계를 휩쓰는 이유다.

21세기 유가전쟁은 전선도 여러 갈래다. 기득권을 쥔 미국과 사우디가 같은 편이고 이에 대항하는 러시아와 신흥 산유국들이 연합전선을 펴는 형국이다. 이와 별도로 사우디를 중심으로 전통 원유국과 셰일오일을 독점한 미국과의 싸움도 있다. 2인3각의 고차 방정식을 풀어야 최후의 승리자가 되는 게임이다.

전문가들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역사상 최악의 유가 전쟁을 의도적으로 촉발시켰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출혈을 감수하면서까지 푸틴 대통령이 노리는 것은 미국 셰일오일 산업의 타격이다. 미 셰일오일의 손익 분기점은 최소 배럴당 50달러 선으로 알려져 있다. 50달러 밑의 저유가 상황이 지속되면 셰일산업은 타격 정도가 아니라 줄도산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과거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2014년 상반기까지 배럴당 100달러 수준에 머물던 국제유가는 같은 해 6월 이후 60%가량 추락했고 2016년까지 50달러 이하에 머물렀다. 많은 미국 셰일오일 기업이 큰 손해를 봤고 파산 기업도 속출했다. 이후 미 셰일산업은 유가 회복 기간에도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가 감산에 합의해 유가가 상승하면 그 혜택은 고스란히 미 셰일 산업이 가져가는 구도다. 미 파이낸셜타임스(FT)도 “러시아가 감산에 반대한 것은 미국 셰일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경계심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장기적으로 미국의 경제에 타격을 주고 미ㆍ사우디 간의 전략적 동맹을 뒤흔들겠다는 계산이다.

사우디는 조만간 석유공급 확대와 대대적 가격 할인을 시작한다. 이는 러시아가 타깃인, 본격적인 선전포고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요급감에 직면한 상황에서 가격은 하락할 것이다. 사우디와 러시아 그리고 미국 간 3자 치킨게임에서 누가 살아남을까.

oilman@seoul.co.kr
2020-03-11 3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