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유발 하라리와 코로나19/박록삼 논설위원

[씨줄날줄] 유발 하라리와 코로나19/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3-22 22:24
업데이트 2020-03-23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루살렘 히브리대 교수 유발 하라리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만큼은 아니라도 다양한 분야를 넘나든 ‘르네상스적 인간형’에 가깝다. 그의 전공은 전쟁사, 그중에서도 중세 전쟁사다. 하지만 정작 명성을 떨친 결실은 다른 곳에서 나왔다. 이른바 ‘인류 3부작’으로 통하는 ‘사피엔스’, ‘호모데우스’,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은 역사학, 진화생물학을 씨줄로 하고 심리학, 인류학, 물리학, 생명공학, 종교학 등을 날줄로 삼아 종횡무진 넘나든다. 인류가 걸어 온 길에 대한 기존 관점을 전복(顚覆)하고 인류가 나아갈 길을 매우 도발적으로 전망한다.

그의 서구 중심적, 과학문명사적 사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지만 이 시리즈는 국내에서 100만 부가 넘게 팔렸고 세계 50여개국에서 수백만 부가 팔릴 정도로 마니아층을 형성했다. 그 명성 덕분에 2002년 옥스퍼드대 박사학위 논문집이 ‘르네상스 전쟁 회고록’으로 지난해 뒤늦게 나오기도 했다.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와 매우 넓은 교집합을 이루고 있다. 자연과의 전쟁, 다른 종족·다른 국가와의 전쟁 등은 인류가 생존해 온 과정이기도 했다. 전쟁사를 전공한 하라리가 인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학문적 연계의 필연일 수 있다. 여기에 중세 흑사병부터 시작해 20세기 들어서도 스페인독감(이름과 달리 미국이 발원지였다), 사스, 메르스 그리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이르기까지 모두 바이러스와 벌이는 인류의 치열한 전쟁이었던 만큼 하라리의 관심 분야와 맞닿아 있을 테다.

하라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각국 정부 및 인류사회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전 세계 각 정부가 당면한 위협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전체주의적 감시 또는 시민 권한 확대, 그리고 국수주의적 고립 또는 글로벌 연대 사이에서 선택하게 된다”고 말했다. 하라리는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시민들의 협조로 감염 확산을 저지한 성공적인 사례로 한국과 대만, 싱가포르를 꼽았다. 하라리 교수는 “이들 국가는 일부 접촉자 추적시스템을 이용하긴 했지만 광범위한 검사와 투명한 보고, 정보를 잘 습득한 대중의 자발적인 협조에 훨씬 더 많이 의존했다”고 평가했다.

바이러스와의 전쟁은 한창이다. 아직 승전가를 울릴 때는 아니다. 다만 “코로나19와 그에 따른 경제적 위기 모두 세계적인 협력과 연대만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하라리의 제언은 귀담아 둘 만하다. 국경봉쇄로 해결하기에 21세기 지구촌의 국경은 너무 희미해지고, 인류는 운명공동체가 되고 말았다.

2020-03-2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