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130년 만의 귀환/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130년 만의 귀환/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3-02-13 01:33
업데이트 2023-02-13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정동에 가면 ‘배재대학교’라는 간판이 내걸린 현대식 빌딩 옆에 빨간색으로 된 근대식 건물이 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이다. 1885년 7월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의사 겸 미국 선교사이던 윌리엄 스크랜턴의 집을 빌려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배움터가 있던 곳이다.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은 이듬해 고종이 ‘유용한 인재를 기르는 곳’이라는 의미로 하사한 현판이기도 하다.

아펜젤러는 배재학당을 세워 육영사업에 힘쓴 것 외에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에도 도움을 줬다. 그가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개신교 교회인 정동제일교회는 독립운동가들이 일본 경찰의 감시망을 피해 독립운동을 도모하던 장소 중 하나였다. 그는 1902년 성경 한국어 번역을 위해 인천에서 배를 타고 군산으로 가다가 선박 충돌사고로 바다에 빠진 학생들을 구하려다 숨졌다.

우리나라 근대화에 큰 영향을 준 아펜젤러에게 130년 전 조선 왕실이 선물한 ‘나전흑칠삼층장’이라는 공예품이 우리나라에 돌아왔다고 한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은 지난해 12월 아펜젤러의 증손녀인 다이앤 도지 크롬으로부터 나전흑칠삼층장을 기증받았다고 최근 밝혔다. 크롬은 아펜젤러의 둘째 딸인 아이다 아펜젤러의 손녀로 미국 델라웨어에 있는 한 박물관에서 일하고 있다. 그녀는 지난해 9월 박물관 측에 보낸 이메일에서 “(아펜젤러가) 조선의 왕에게서 감사의 의미로 받은 것이라 들었다”며 “우리 가족이 간직할 때보다 한국에 있을 때 더 빛이 날 것 같다”고 기증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19세기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삼층장은 검은 옻칠에 섬세한 나전 기법으로 만들어졌다. 높이만 180여㎝에 이른다. 박물관 측은 아펜젤러 가문의 가계도, 기증자가 전한 사진 자료와 소장 경위, 전문가 평가 등을 종합한 결과 고종이 한국 근대교육에 헌신한 공로 등을 인정해 아펜젤러에게 준 선물로 추정된다고 밝히고 있다.

아펜젤러의 장남은 배재학교 교장을, 장녀는 이화학당 교장을 지냈으며 한국 땅에 묻혔다. 아펜젤러 가문의 3대에 걸친 한국 사랑의 뜻이 담긴 나전흑칠삼층장은 올 하반기에 특별전시될 예정이다.
박현갑 논설위원
2023-02-13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