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대관람차 ‘서울링’/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대관람차 ‘서울링’/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3-03-09 01:21
업데이트 2023-03-09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거대한 바퀴 모양의 회전놀이 기구인 대관람차를 영어로는 ‘페리스휠’(Ferris wheel)이라고 부른다. 최초 설계자인 미국의 교량 건설 기술자 조지 워싱턴 게일 페리스 주니어(1859~1896)의 이름에서 따왔다. 그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400주년을 기념해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에서 직경 80.4m의 대관람차를 처음 선보였다. 직전에 개최된 1889년 파리박람회의 상징적인 건축물 에펠탑(324m)을 의식한 야심작이었다.

최초의 페리스힐에 매달린 탑승 차량은 36개였다. 기구 하나에 60명씩, 한 번에 최대 2160명을 태우고 20분간 회전하는 구조였다. 도는 바퀴에 맞춰 높은 곳에서 아름다운 도시 풍경을 즐길 수 있어 하루 3만 8000명이 이용할 정도로 인기가 대단했다.

이후 세계적으로 놀이공원에 대관람차 설치가 유행했고, 최대 규모를 앞세운 경쟁도 벌어졌다. 1895년 런던박람회 인도 전시장에 페리스휠보다 큰 직경 94m ‘그레이트휠’이 설치돼 1906년까지 운영됐다. 1900년 파리박람회에서 선보인 ‘그랑루드파리’는 세계 최초로 직경 100m를 넘은 대관람차였다.

이 기록은 1989년 일본 아시아태평양박람회의 대관람차(105m) 등장으로 89년 만에야 깨졌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대관람차는 2021년 두바이 인근 블루워터섬에 설치된 ‘아인두바이’(250m)다. 밀레니엄을 기념해 2000년 문을 연 ‘런던아이’(135m)는 영국 런던을 상징하는 관광 시설로 사랑받고 있다.

서울시가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180m 크기의 대관람차 ‘서울링’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어제 발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한강르네상스 2.0’ 사업의 일환으로, 런던아이나 싱가포르의 ‘플라이어’ 같은 랜드마크로 삼겠다는 것이다. 민간 투자 사업비 4000억원을 들여 2025년 착공, 2027년 완공이 목표다. 바퀴살이 있는 휠 형태가 아닌 고리 모양의 구조물로, 2000년 한 차례 추진하다 무산된 국가 상징 조형물 ‘천년의 문’과 외형이 유사한 점도 눈길을 끈다. 과거 쓰레기 매립지였던 장소의 상징성을 감안해 친환경 기술이 집약된 시설로 지어질 서울링의 미래가 주목된다.
이순녀 논설위원
2023-03-0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