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왕문은 내부에 무서운 모습의 사천왕이 모셔진 바로 그 전각이다. 사천왕은 인도 고대 종교의 신이었는데 부처에게 귀의해 불법(佛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됐다고 한다. 우리 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천왕은 큰 칼을 들고 갑옷을 두른 채 험상궂은 얼굴로 악귀를 밟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그렇게 사천왕이 선(善)하지 않은 모든 것의 접근을 막아 사찰은 청정 도량이 된다.
우리 불교 건축 역사에서 천왕문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물론 양주 회암사 발굴조사에서 보듯 여말선초에 존재했던 흔적이 드러나기는 했다. 하지만 천왕문의 집중적인 조성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참화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 숭유억불에 숨죽이고 있던 조선 불교는 국가적 위기를 오히려 곤경에서 벗어나는 기회로 삼았다. 왜란이 일어나자 의승군을 조직해 싸웠고, 호란을 앞두고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쌓고 지켰다.
유교는 죽음의 문제에 직면한 백성을 보듬을 방법이 없었다. 고통을 위로하고 죽은 이를 극락왕생하게 하는 불교는 민심을 아우르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사대부들도 불교를 무시할 수만은 없었다. 왕실도 눈치보기에서 벗어나 시주를 본격화할 수 있었다. 곳곳의 사찰에서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다. 특히 천왕문의 집중 건립은 ‘불교가 있어 양대 국난을 극복할 수 있었음을 기억하라’는 조선 불교의 메시지가 담긴 상징적 기념물이라 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왜란 당시 의승군 본부 역할을 했던 구례 화엄사의 천왕문을 비롯해 8곳의 금강문과 천왕문을 보물로 지정했다. 완주 송광사 금강문, 보은 법주사 천왕문, 양산 통도사 천왕문,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영광 불갑사 천왕문, 포항 보경사 천왕문, 김천 직지사 천왕문이 면면이다. 건축적 의미에 더해 국난극복의 역사가 부각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2024-04-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