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삶의 잔혹성 앞에서/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열린세상] 삶의 잔혹성 앞에서/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20-07-28 18:06
업데이트 2020-07-29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이런 결말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해 평생 싸웠지만 민주주의에 의해 무너지다니. 정의를 위해 평생 싸웠지만 정의에 의해 추락하다니. 김동춘 교수가 평가하듯 ‘박원순이라는 100조짜리 시민사회의 위대한 정신’이 느닷없이 끝없는 심연으로 곤두박질치다니. 공과 과라는 덧셈과 뺄셈의 계산적 언어는 시민사회의 밑바닥에서 권력의 정상까지 올라갔다가 심연으로 추락한 그의 비극을 이해하기에는 지극히 기만적이다. 삶의 잔혹성.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몇 날 며칠을 묻고 또 물어보았지만 이해 불가능했다.

라캉식으로 ‘몸이 말을 듣지 않았다’고 변명할 수 없다. 수년 동안 경고음이 있었건만 폐쇄적인 가부장적 구조에서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다. 진실과 정의를 요구하는 집단적 목소리가 비극의 판도라 상자를 열라고 재촉한다. 정의의 비정함, 진영 정치의 비열함, 인간 본성의 파렴치함이 거대한 소용돌이를 이루며 파편들이 사방으로 튀고 있다.

만약 셰익스피어가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4대 비극이 아니라 ‘40대 비극’을 썼을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모든 것을 가진 자가 자신의 성격적 결함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게 된다는 내용을 주요 골격으로 한다. 이로써 독자는 삶이 공평하다고 느낀다. 그러나 정확하게 말하면 우리는 삶의 잔혹성 앞에서 공평하다. 극단적 선택을 택한 대통령, 부정부패로 감옥에 갇힌 대통령들, 성추행으로 파멸한 대선 후보들, 루머·배신·우울증으로 자살한 슈퍼스타들, 부정 상속과 회계 부정으로 감옥에 갇힌 재벌들, 그리고 사회의 잔혹성으로 생을 내려놓은 무수히 많은 일반인.

이제 한국에서 누구도 자신의 발밑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만들려고 했던 사회는 이런 사회가 아니었을 텐데 말이다. 좋은 사회란 무엇이고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를 묻기보다 어떻게 하면 삶의 비극을 피할 수 있을지를 먼저 묻게 된다.

한국 정치의 비극의 연속에서, 그 심연의 밑바닥에서 진실 하나가 솟아오른다. ‘민주주의는 몹시 복수심이 강하다.’ 자본주의와 마찬가지로 민주주의도 사람을 잡아먹으면서 앞으로 나간다. 베버의 표현을 빌리자면 민주주의는 “마음대로 타고 내릴 수 있는 쌍두마차가 아니다”라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어떠한 특권과 부당한 권력을 용납하지 않으며 민주주의를 위해 싸운 자가 권력을 부당하게 사용했을 때 그 복수의 칼을 다시 그에게 겨눈다. 이제 이 민주주의의 칼날은 우리 모두를 향하는 듯하다. 젠더 민주주의와 생활 민주주의 시대에 가부장적 유교주의에서 평생 살았던 사람들은 언제든 민주주의의 원투펀치를 맞을지 모른다.

베버는 ‘직업으로서의 정치’에서 정치인이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자질로 열정, 책임감, 균형감각을 들었고 이는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베버가 문학과 종교를 동원하면서 암시적으로 제시한 정치인에게 요구되는 가장 획득하기 힘든 자질을 읽지 못했다. 그것은 ‘악을 다루는 기술’이다. 악을 다루어야 하기에 정치는 본질적으로 위험하다. 정치인이 다루어야 할 악은 크게 두 가지. ‘세상의 악’과 ‘자기 자신의 악’이다. 그러하기에 그는 “세상이 어리석고 비열하지 내가 그런 건 아니다”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그는 세상의 악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악을 견뎌 내야 하며 그러지 못한 자는 ‘낭만적 감흥에 도취한 허풍선이’에 불과하다. 책임감, 열정, 낭만으로 한국 민주주의를 이끈 젊은이들은 나이가 들어 이제 권력의 중심에 섰다. 세상사에 통달했던 베버는 이와 같은 이들에게 ‘파우스트’의 한 구절을 들려준다. “악마, 그는 늙었다. 고로 그를 이해하려면 너도 늙어야 함을 염두에 두어라.”

그가 가고 난 어느 날 하루 종일 비가 내렸고 밤새 개구리들이 울었다. 다음날 구름 한 점 없는 푸르른 서울 하늘이 펼쳐졌다. 광화문 근처에서 오후에 회의를 했고 돌아오는 길에 서울시청 앞을 지났다. 푸르고 드넓은 잔디 위에 연인들과 아이들은 평화롭게 노닐고 있었다. 반포대교를 들어섰을 때 구름 한 점 없는 하늘로 석양이 졌다. 이때 한강과 도시 전체가 금빛 물결로 출렁거렸다. 감탄과 비탄이 교차했다.
2020-07-29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