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읽지 못한 소설처럼… 첫사랑 향한 기억의 습작

‘훌리오와 에밀리아’는 프루스트의 소설과 청년 훌리오의 남다른 인연에 관한 이야기다. 학창 시절 훌리오는 교수의 충고에 따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기로 한다. 호숫가에서 책을 읽다 잠이 들었고, 볕에 익은 그의 가슴엔 책의 자국이 남았다. 그는 파티에서 하룻밤을 함께 보낸 에밀리아에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1편을 다 읽었다고 말했고, 그녀는 예전에 이미 전편을 읽었다고 답한다. 우리는 안다, 두 사람 다 거짓말을 했음을. 훌리오와 에밀리아는 동거하면서 밤마다 프루스트를 읽기로 한다. 프루스트를 읽다 지친 걸까, 다 읽기도 전에 헤어진 걸까. 어쨌든 두 사람은 1편 ‘스완네 집 쪽으로’를 끝내 다 읽지 못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도전한 대부분이 그런 것처럼.


‘훌리오와 에밀리아’는 첫사랑의 기억을 되살리려는 청년의 이야기다. 20대 후반의 훌리오는 아직 습작 시대를 통과 중이다. 그는 유명 작가 가즈무리로부터 사적 소설의 타이핑을 제안받는다. 작가는 소설이 첫사랑의 죽음으로 시작한다고 했다. 얼마 후 작가는 훌리오에게 작업을 못 하게 됐다고 연락한다. 훌리오는 네 권의 노트와 잉크를 사 대신 소설을 마무리한다. 8년 전에 사랑을 나눈 에밀리아가 불려 나오고, 그녀와 함께한 시간이 소환된다. 가슴에 인장을 남겼으나 다 읽지 못한 소설처럼 이뤄지지 않았기에 가슴에 상처로 남은 사랑이 있다. 프루스트가 세상과 담을 쌓고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혼신을 쏟았듯이 훌리오는 첫사랑의 기억을 복원하는 작업에 몰두한다. 창가에 놓인 분재(영화의 원제는 분재를 뜻한다)는 그 노력의 증거다.

‘훌리오와 에밀리아’는 서로 연결된 창작의 이야기다. 훌리오가 자기 식으로 가즈무리의 소설을 완성하려 밤을 지새울 동안 이웃집 연인 블랑카가 그의 작업에 개입한다. 애초엔 타이핑을 도와주는 것으로 시작된 그녀의 협력은 점점 창작의 핵심에 접근한다. 그녀는 읽고 있는 소설이 가즈무리의 것이 아님을 아는지 모르는지 말하지 않은 채 감상을 이야기하고, 그녀의 비평은 훌리오의 소설이 피와 몸을 얻도록 이끈다. 완성된 작품은 훌리오의 소설이면서 표면적으론 가즈무리의 것이고, 한편으로는 블랑카의 자취가 밴 것이기도 하다. 훌리오는 다 채운 네 권의 노트를 블랑카에게 준다. 가짜 가즈무리 소설을 선물로 받은 블랑카는 스페인으로 떠나고, 이후 이 소설을 발표한 가즈무리는 혹평을 듣는다. 훌리오는 첫 작품을 가슴에 묻는다. 우리는 누구의 작품을 읽은 것일까.

‘훌리오와 에밀리아’는 종이와 책이 모티브가 된 신선한 영화다. 영화의 타이틀은 종이로 디자인됐으며, 극 중 인물의 인연은 전부 책으로 이어져 있다. 에밀리아의 친구가 문학선생에게 빌린 책이 네댓 사람을 거치다 결국 돌려받을 수 없게 된 사연은 영화의 핵심 이야기는 아니지만 낯선 칠레 감독이 이야기하는 방식을 잘 보여 준다. 감독 크리스티안 히메네즈는 훌리오가 가즈무리의 소설인 양 꾸미고자 노트에 커피와 담뱃재 흔적을 남기는 모습을 빌려 영화가 현실을 재창조하는 작업임을 밝힌다. 프루스트의 소설이 그러하듯 도무지 극 전체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싶은 소소한 이야기들이 끼어들 때면 미소가 절로 나온다. 라틴어 과외 학생과의 대화, 에밀리아 친구의 에피소드, 할머니의 핀잔이 어떤 의미인지 파악하려면 영화를 적어도 두 번은 봐야 할 것 같다. 흥미로운 작품이다.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