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키사라기 미키짱’ 다쿠아役 오달수

“내년에 올리는 우리 극단(신기루만화경) 작품으로 무대에 오르려고 했는데 (동이향)연출이 써주질 않아서 이 작품을 선택했다.” 처음에는 시원하게 농담을 질렀다. 영화 속 감초, 코믹 이미지로 잘 알려진 터라 이 모습이 익숙했는데, 연극판 얘기로 돌아서자 사뭇 진지하다. 한 해 개봉작 너덧 편에 얼굴을 비추는 빠듯한 일정에도 매년 연극 무대를 거르지 않았다. 1990년 극단 연희단거리패에 입단했으니 올해로 연극 무대 데뷔 22년째인데 “연극은 훈련 삼아서라도 꼭 해야 한다.”는 신념이 있다. “연극계는 2000년대 들어 해마다 (1920년대에 시작된) 신극 이후 최대 위기라는 말을 들고 있다. 재미있고 작품성 있는 연극이 많아져야 연극계가 살아날 수 있다.”고 무게감 있는 조언도 잊지 않는다.
오달수


지난 20일 서울 대학로에 있는 한 극장에서 만난 배우 오달수(44)는 시종 예상을 깨는 답변으로 한 시간 남짓한 인터뷰를 이끌어갔다.

그가 29일부터 첫 출연하는 연극 ‘키사라기 미키짱’은 지난해 6월에 초연한 일본 번안극이다. 모두가 인정하는 ‘개성 있는’ 얼굴의 소유자인 그는 이번 연극에서 아이돌 스타 미키짱의 팬클럽의 맴버로 닉네임이 기무라 다쿠아인 역을 맡았다. ‘다쿠아’의 실제 모델은 잘생긴 일본 스타 기무라 ‘다쿠야’이다. 다쿠아는 미키짱이 죽은 지 1년이 되는 날, 열혈 광팬들을 모아 추모식을 주선한다. 또 미키짱의 죽음에 의혹을 제기하고 비밀을 풀어나간다. 광팬인 다쿠아는 냉철하지만 미키짱에 대한 이야기 앞에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고 흥분하는 다혈질 캐릭터다.
오달수


주인공과 성격이 닮은 건가. “다혈질도 아니고, 솔직하지도 않고, 안으로 삭이는 스타일이라 비슷한 점이 하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작품이나 인물에 대한 ‘공감’을 바탕에 깔고 작품을 선택할 줄 알았는데, 그는 굳이 접점을 찾으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나와 완전히 다른 캐릭터를 연기하는 게 편하다.”고 했다. “나를 집어넣어야 하는 역할이 있는데 나와 비슷하면 연기가 잘 안 된다. 나와 다르기 때문에 연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기는 그야말로 연기’라는 말이다. 그는 만화 ‘유리가면’을 들어 설명했다. “연극은 유리가면을 쓰는 것이라고 해요. 그것이 깨지는 순간 자기가 드러나고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오는 거죠.” 대신 그가 넣는 노력은 “최대한 오달수스럽게”이다. 그래야 관객이 편안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캐릭터도 이질적이고, “굉장히 힘이 넘치는 작품이라 연습할 때 힘이 달려 초콜릿을 먹어야” 한다. 심지어 이해제 연출은 오달수가 작품에 출연한다고 했을 때 “초연이 아니니….”라며 말렸다고 했다. 그런데도 출연을 결심한 것은 작품의 매력이 컸다. “제목만 접하고는 큰 기대를 하지는 않았는데 2011년 공연을 보고 나서 끌렸다.”며 “타인을 통해 나의 존재를 깨닫고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감동이 있는 소동극”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연극을 자주 보지 않죠.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관객들이 연극에 대한 재미를 느끼게 만들어야 해요. 연극을 처음 볼 때 재미있어야 계속 보죠. 연극 ‘키사라기 미키짱’이 바로 그런 작품입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키사라기 미키짱 29일부터 서울 대학로 컬쳐스페이스 엔유. 오달수를 포함한 키사라기팀를 비롯해 미키팀, 짱팀 등 3개 팀이 번갈아 무대에 오른다. 3만~4만 5000원. 1544-1555.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