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9일 저녁 ‘어머니를 닮은 섬, 하의도 해조밥상’ 방영

‘바다의 연꽃’으로 불리는 하의도는 연꽃이 만개한 형태라는 뜻의 하(荷)와 여성을 상징하는 의(衣)가 더해져 만들어진 이름이다. 1004개의 섬으로 이뤄진 전남 신안군에서도 가장 수려한 풍광을 자랑하는 곳이다. 하지만 이름과 달리 척박한 땅에선 먹거리를 거의 얻을 수 없었고, 바다에 나가 주린 배를 채워야 했다. 옛 기록에도 하의도는 ‘토지는 척박하고 백성과 물산은 거의 없어 매우 가엾은 섬’으로 알려졌다.
하의도를 평화의 섬으로 소개하는 조형물. ‘바다의 연꽃’이라 불리는 하의도에선 해조와 칠게가 중요한 먹거리였다.<br>EBS 제공
EBS는 9일 오후 8시 20분 ‘요리비전-어머니를 닮은 섬, 하의도 해조밥상’은 이곳에서 삶을 이어온 섬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섬 사람들의 음식문화를 책임진 것은 다름 아닌 바다의 선물이라는 해조다. 먹을 게 없던 시절 바닷가 바위에 붙어 있던 모든 해조들은 배고픈 사람들의 밥상에서 최고의 식재료로 변신했다.

한때 바다의 잡초로 여겨지던 함초는 ‘바다의 산삼’으로 탈바꿈했다. 섬 사람들은 함초가 천일염을 생산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경시하기도 했지만, 요즘 최고의 건강식품이라며 떠받들고 있다. 미네랄과 아미노산, 사포닌을 다량 함유해 염전을 일구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영양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섬 사람들에게 평생을 함께해온 함초가 어떤 존재인지 살펴본다.

하의도 주변을 포근히 감싸는 건 바다와 염전뿐이 아니다. 갯벌에선 칠게와 말린 감태도 보물로 여겨진다. 한평생 갯벌에 나가 칠게를 잡던 어머니들에게 드넓게 펼쳐진 갯벌은 고단한 삶을 넉넉히 채워주던 고마운 터전이었다. 그곳에서 만난 칠게는 두고두고 먹을 수 있는 제철 밥상의 소중한 재료였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