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한창 석유전쟁 중이다. 전쟁의 복판에 세계 최대 산유국으로 급부상한 미국과 미국을 견제하려는 세계 최대 석유 카르텔인 석유수출기구(OPEC) 사이의 치열한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느긋이 저유가를 즐기고 있지만, 심각한 경제위기를 맞고 있는 러시아를 비롯해 원유를 수입해 가공하는 우리나라 정유업계들도 연일 비명을 지르고 있다.
미국의 셰일 업계는 최근 3~4년 전 셰일 암석층의 원유 시추 기술을 새로 개발해 생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셰일혁명’으로 석유생산량이 30% 이상 증가하면서 미국이 세계 최대 산유국으로 부상 중이다. 문제는 비싼 생산 원가다. 미국의 셰일오일을 견제하기 위해 OPEC이 원유를 증산하면서 공급가를 떨어뜨리고 있다. 배럴당 5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영세한 셰일업계를 중심으로 문을 닫는 모습도 눈에 띈다. OPEC의 저유가 공세에 미국 셰일업계는 인수합병과 생산비용 절감 노력으로 맞서고 있다. 지금의 저유가는 OPEC에도 고통스럽긴 마찬가지다. 국내외 석유 전문가들은 앞으로 3~5년 사이에 배럴당 100달러대의 석유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제유가가 치솟는 순간 미국의 셰일 업자들이 달려들어 생산을 늘릴 것이기 때문이다. 셰일 혁명이 고유가의 파도를 막아 주는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KBS ‘시사기획 창’은 3일 밤 10시 ‘셰일, 신금광 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셰일오일이 보여 준 국제 에너지 환경의 급변과 세계 산업구도 재편의 가능성을 조명한다. 미국의 산업 호황과 함께 저유가로 최근 루블화 가치 폭락을 맞은 러시아 분위기를 대조한다. 한국 역시 셰일혁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 필요성을 제언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