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의 동쪽 끝에 있는 우도에서는 한평생 물질하며 살아온 바다 여자, 해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우도의 해안가에는 먼바다에 나가 물질하기엔 힘이 부친 해녀 할망들의 유모차가 종종 눈에 띈다. ‘할망바다’ 라고 불리는 해안가 근처의 얕은 바다가 그들의 물질 장소다. 할망바다에서 젊은 해녀 못지않게 자유로이 유영하는 경력 82년차, 90세의 해녀 한 분을 만난다.
해녀들은 끈끈한 공동체 의식 속에 힘겨운 작업을 버틴다. 이들은 날씨나 금어기 등 물질에 관한 모든 사항을 함께 의논하며 하루의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윤영례(80) 할머니는 때때로 죽음의 고비를 넘긴 지난날을 회상한다. 눈앞의 전복에 순간적으로 욕심을 부려 정신을 잃었던 그녀는 동료 해녀가 없었다면 오늘 이곳에 없었을 거라고 고백한다.
해녀들이 점점 노령화되면서 그 맥을 이어가기 힘들어지고 있다. 그런데 요즘 해녀들의 정신을 배우기 위해 제주의 해녀학교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다. 연령·지역·국적에 상관없이 활기 넘치는 해녀학교의 하루를 카메라에 담는다. 또 오랜 세월 우도 해녀를 흑백사진에 담아온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이성은씨, 전직 해녀인 김춘산(78) 할머니로부터 듣는 제주 해녀의 항일운동 이야기 등 해녀의 거친 삶이 묻어나는 해녀의 노래를 직접 들어본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