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제공
신입사원은 제외, 두산인프라코어 희망퇴직 논란… 사람은 미래라더니? ‘올해만 4번째’

‘두산 인프라코어 희망퇴직 논란, 신입사원은 제외’

두산 인프라코어가 경영난으로 연령 제한없이 국내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고 있는 가운데,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이 “신입사원은 제외하라”고 계열사에 지시했다.

두산 인프라코어 사원 대리급 희망퇴직 실시 후 논란이 커지자, 박용만 회장은 16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조찬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두산인프라코어 희망퇴직과 관련해 신입사원에 대한 보호조치를 계열사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희망퇴직에 신입사원까지 포함하는 것은 좀 아니다”라며 “그렇게 되어서는 안 된다고 판단, 보호조치를 하라고 오늘 새벽에 지시했다”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그러나 “건설기계업이 예상치 못한 불황에 빠졌다. 그룹 차원에서 인프라코어 인력을 최대한 흡수하려고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희망퇴직이 필요하다고 보고를 받았다”라며 건설기계업의 불황을 토로했다.

박회장은 "절박한 위기감은 이해하지만, 신입사원까지 희망퇴직 대상에 포함하지는 않도록 했다”며 “대책을 만들라고 지시했고, 앞으로 대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제외 대상이 될 구체적인 신입사원 연차는 확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1~2년차 정도가 아니겠느냐”며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되레 선을 그을 수 있다”고 말을 아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인력 조정의 하나로 지난 8일부터 오는 18일까지 국내 사무직 3000여명 전원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고 있고, 신청자 중에는 갓 입사한 신입사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경영난에 처한 두산인프라코어는 올해 들어서만 4번째 희망퇴직을 받고 있으며 최근 사원 대리급을 포함한 사무직 3000명 전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아 ‘사람이 미래다’라는 기업의 광고와 매우 어긋난다는 평가를 지적을 받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 2월, 9월, 11월(기술·생산직)에 총 3차례 퇴직프로그램을 실시해 각각 180명, 200명, 450명 가량이 회사를 떠났으며 이번에는 사원·대리급 직원까지 포함됐다.

사진=서울신문DB(두산인프라코어)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