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된 상상력으로 90분간 그려낸 ‘가족 타락사’

5일 개봉한 ‘뫼비우스’는 그간 소위 논쟁작들을 만들어온 김기덕 감독의 작품이라는 프리미엄과 함께 영상물등급위원회로부터 두 번의 제한상영가 판정을 받으면서 일찌감치 화제작이 되었다. 베니스영화제 초청작이라는 플래카드는 영화를 더욱 궁금하게 만든다. 그러나 노이즈 마케팅과 화려한 포장을 벗겨버리고 나면 우리는 과연 이 영화에 대해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영화는 대사가 전혀 없는 무언극이지만 이야기가 어렵지는 않다. 굳이 감독의 작의(作意)를 참고하지 않아도 프로이트와 오이디푸스의 이름을 아는 관객이라면 주제를 읽어 내기에 까다로운 영화도 아니다. 이야기는 알겠는데 의도를 모르겠다면 머리가 아프다. 하지만 이야기도 알겠고 의도도 간파했으나 감흥이 없으면 그건 치명적일 수 있다. ‘뫼비우스’를 보면서 정말 안타까웠던 것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받아 절뚝이는 작품을 볼 수밖에 없는 우리의 현실이 아니라 이 영화의 여운이 90분의 러닝타임을 1분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빈집’과 ‘비몽’을 만든 감독의 작품으로서는 실망스러운 퇴행이다. 파국으로 치닫는 한 가족의 이야기는 영화가 끝나면서 무기력하게 스크린 속으로 침잠해 들어간다. 가족, 욕망, 성기라는 키워드로 시작한 영화가 결국 가족, 욕망, 성기를 날것으로 보여주고 끝난 바로 그 방식 그대로 말이다.

거세당한 남자가 자신의 잘려진 성기를 되찾기 위해 절뚝거리면서 아들을 쫓아가는 장면을 보자. 거세당한 두 남자는 성기를 두고 길 한복판에서 몸싸움을 벌인다. 결국 성기는 길바닥에 던져지고 무심한 자동차들에 의해 짓밟힌다. 욕망의 대상에 대한 인간의 집착과 그 결과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렇게 직접적인 사건과 이미지들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처럼 또박또박 의중을 전달한다. 좋게 말하면 친절하고 유머러스하다. 하지만 영화의 수위나 감독의 성향을 고려했을 때 ‘뫼비우스’는 결코 그렇게 사려 깊고 재치 있는 영화가 아니다.

나쁘게 말하면 유치한, 일차원적인 표현력이 실소(失笑)를 만들어낸 것에 불과하다. 김기덕 영화들이 일관성 있게 보여주었던 뒤틀린 상상력은 언제나 호불호의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런 상상력 자체가 빈약하다는 것이 문제다. 스스로 두 번째 거세를 한 다음 바로 스님으로 분하는 아들의 캐릭터가 보여주는 것처럼 말이다.

욕망을 둘러싼 가족들의 이야기 역시 소재의 강렬함을 넘어서는 정서적 임팩트가 없다. 아들이 아버지의 성기를 가지게 되고, 어머니를 통해 욕망을 충족시킴으로써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는 세 인물은 저마다 고통 속에 있다. 그런데도 그들의 감정에 동화되기는 좀처럼 어렵다. 공감보다는 파격을 지향한 감독의 욕망이 이런 식으로 작동한 것은 아닐까. 그러나 17년 동안 상업영화의 궤도를 벗어난 작품들을 만들면서도 주목받는 법을 아는 그의 작품들은 평자들에게도 애증 병존의 대상이기에, 다시 스무 번째 작품을 기다려 본다.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