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대호’의 천만덕을 내려놓은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벌써 차기작이 궁금해진다. 최민식은 얘기 중인 것은 있지만 아직 발표 단계는 아니라며 조금 기다려 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요즘 이야기다. 당분간 상투 안 틀고, 짚신도 안 신을 생각”이라며 너털웃음을 터뜨렸다.<br><br>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br> 영화 ‘대호’의 천만덕을 내려놓은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벌써 차기작이 궁금해진다. 최민식은 얘기 중인 것은 있지만 아직 발표 단계는 아니라며 조금 기다려 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요즘 이야기다. 당분간 상투 안 틀고, 짚신도 안 신을 생각”이라며 너털웃음을 터뜨렸다.<br><br>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b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14/SSI_20151214173858_V.jpg)
“이야기의 뼈대는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해 줄 수 있는 설화나 동화예요. 거기에 지금은 단절된 그 시대 사람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 삶의 가치관, 모진 인연의 업 등 우리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얹었어요. 단순히 호랑이를 잡는 무용담이 아닌 거죠. 우리가 한국 영화를 끌고 가는 주류라면 이런 도전을 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했죠.”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섭렵한 베테랑이지만 지난해 12월부터 6개월간 이어진 무모한 도전은 당혹감과 어색함의 연속이었다. 연기를 할 때는 마주 선 상대방의 연기도 중요한데 상대역 ‘김대호씨’-그렇게 이름을 지어 줬다고 한다-는 없었다. 오로지 머릿속으로 상상하며 허공에 대고 소리 지르고 총질을 해야 했다. 한겨울 추위에 산속에서 뒹굴어야 하는 것은 애로 사항도 아니었다. 다시 하라고 하면 절대 못할 것 같다며 너스레를 떨던 최민식은 최근 시사회를 통해서야 비로소 키 380㎝에 무게 400㎏에 달하는 김대호씨와 인사를 나누고는 깜짝 놀랐다고 했다.
“제가 호랑이에게 ‘몸이 많이 상했구먼’이라고 대사를 던지는 장면이 있어요. 큰 상처를 입고 숨을 불규칙하게 몰아쉬며 힘들어하는 모습을 상상하며 연기했는데 스크린으로 보니 정말 기가 막힌 거예요. 제 상상 이상으로 표현이 됐더라니까요. ‘대호’가 성공적으로 대중과 소통한다면 그 공은 기술팀 몫이라고 봅니다. 솔직히 정말 가능할까 불안하고 의심도 많이 했는데 이 자리를 빌려 사과하고 싶네요.”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그래도 100% 컴퓨터그래픽(CG)으로 탄생한 김대호씨가 더 현실감 있게 다가오는 것은 그와 감정을 주고받았던 최민식의 빼어난 연기력 덕택이 아니었을까. 베테랑은 그러나 몸을 한껏 낮춘다. “중요한 결말로 치닫는 대목들은 촬영 후반부에 많이 찍었어요. 그동안 작품의 질감, 캐릭터의 냄새가 몸에 상당히 배어서 좋은 장면이 나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역 성유빈의 연기를 빼면 전반부가 밋밋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최민식의 의견은 달랐다. “만약 지루했다면 일차적으로 작품에 참여한 사람들의 책임이 크죠. 이야기가 촘촘하고 친절하게 전달되지 못했다는 방증이니까요. 하지만 말을 빠르고 조리 있게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어눌하게 하지만 결과적으로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있는 사람도 있잖아요. 그렇다고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은 아닙니다. 대중의 취향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느리게 가는 것도 즐길 수 있었으면 해요. 영화를 바라보고 소비하는 관점 자체가 다양했으면 좋겠어요.”
전작 ‘명량’이 1700만 관객 동원이라는 한국 영화 사상 전무한 기록을 세웠다. 신작의 흥행 결과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대호’는 170억원가량의 총제작비가 들어간 작품이 아니던가. 최민식은 사냥꾼 사이에선 ‘범 바람이 분다’는 표현이 있다고 했다. 산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냄새를 맡으면 호랑이가 나타날지 본능적으로 안다는 것이다. 베테랑 배우는 흥행 바람을 느낄 수 있을까.
“흥행 욕구를 충족시킨다는 게 정말 어렵죠.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에요. 한편으론 그래서 재미있기도 하죠. 요즘에는 영화 투자자들도 창작물에 대한 무형의 가치를 공유하기 시작했어요. 그래도 다음 작품에 재투자할 정도로 흥행이 됐으면 좋겠네요. 하하하.”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