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訪中> 북중정상회담서 뭘 논의할까

<김정일訪中> 북중정상회담서 뭘 논의할까

입력 2011-05-25 00:00
업데이트 2011-05-25 1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협ㆍ후계구도 방점 찍힐듯비핵화에 진정성있는 조치 나올지 주목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방중 엿새째인 25일 베이징(北京)에 도착함에 따라 그동안 관례대로 북ㆍ중 정상회담이 열릴 게 유력해보인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초청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두 정상간 회담은 이미 예고된 수순이라는 지적이다. 아울러 ‘독특한’ 정치체제상 중국 정부를 대표하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와 별도의 정상회담도 이뤄질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이미 김 위원장의 방중 동선에서도 예고된 것 처럼 이번 방중은 크게 ‘경제협력’과 ‘북한 후계구도’에 방점이 찍혀 있어 보인다. 지난 20일 투먼(圖們)에 도착해 무단장(牧丹江)-하얼빈(哈爾濱)-창춘(長春)-양저우(揚州)를 거쳐오면서, 김 위원장이 항일 유적과 선친인 고(故) 김일성 주석의 흔적을 찾아다니고 경제시찰에 집중한데서 그런 기색이 역력하다.

이 가운데 북한 후계구도 문제는 북중 간에 그다지 매끄럽게 논의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중국으로선 섣불리 대응했다가는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에 대해 맞장구친다는 국제적 비난을 받을까 우려한다. 때문에 후 주석을 정점으로 한 중국의 제4세대 지도부는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북한의 차기지도자로 공식 인정하는데 약간 망설이는 모양새다.

지난해 9월 28일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삼남 김정은이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으로 임명되고서 그동안 북한 대내적으로 ‘2인자’ 자리를 공고히 해오면서 ‘현실권력’으로 부상하는 점은 중국의 현 지도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체’ 국가인 북한이 자국의 후계구도에 대해 다른 나라의 인정을 받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북한은 중국과는 과거 혈맹 시절부터 차기 최고지도자들을 서로 인사시켜왔고 최근 몇년새 국제정치 지형상 고립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과 안보 교류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김정은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으로 후계 구도에 대해 중국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바라고 있어 보인다.

따라서 김정일 위원장은 이번 북중 정상회담에서도 이와 관련해 중국의 분명한 태도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중국 수뇌부가 정상회담에서 후 주석의 특사 격으로 지난 2월 13∼15일 방북했던 멍젠주(孟建柱) 국무위원 겸 공안부장이 김 위원장과의 면담에서 했던 것 이상으로 북한 후계구도를 인정하는 발언을 할 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당시 멍 국무위원은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추대돼 조선혁명의 계승문제가 빛나게 해결된 데 대해 열렬히 축하한다”면서 북한의 권력 승계를 공식화하는 발언을 했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이번 방중 기간에 직전 방문지인 창춘에서 양저우까지 가서 무려 2천여㎞를, 30시간 가까이 달려간 것도, 옛 친구인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을 만나 후계구도와 관련해 ‘우군’으로 만들려는 의도였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 방중에서 후계 구도 못지 않게 눈길을 끈 것은 김정일 위원장의 ‘경제챙기기’ 행보였다는 점에서 정상회담에서 북중 간 경협이 심도있게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 위원장은 특히 그간 방중 기간에 창춘의 이치자동차, 양저우 한장개발구의 징아오 태양광을 포함한 3개 IT업체, 대형 할인매장, 난징의 판다 전자를 둘러보는 등 경제 시찰에 집중했고 이를 구체적인 성과로 연결시키려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원자바오 총리는 그동안 김정일 위원장에게 동북3성과 북한의 경제개발을 연계한 이른바 ‘창ㆍ지ㆍ투(長吉圖)계획’을 적극 역설해왔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해 어떤 논의 결과를 내놓을 지 주목된다.

사실 창지투 계획은 동해로 가는 길이 막힌 동북3성은 엄청난 물류 비용을 지불해가면서 랴오닝성 다롄(大連)과 단둥(丹東)항을 이용해야 하는 난관을 북한이 라진항 또는 청진항 등을 개방해서 해결하자는 게 골자다.

중국은 그동안 이른바 동해출항권을 싼 값에 얻으려 했고, 북한은 그런 ‘거래’를 할 수 없다고 버텨왔다. 북중 정상회담에서 이와 관련해 합의가 어떤 합의가 도출될 지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쏟아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원자바오 총리가 지난 22일 일본 도쿄에서의 한ㆍ중 정상회담에서 이례적으로 “중국의 발전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자신들(북한)의 발전에 활용하기 위한 기회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김정일 위원장을 초청했다”고 밝힌데서도 중국의 의지는 분명하게 드러나 보인다.

개혁개방을 통한 중국의 발전상을 북한이 벤치마킹하도록 김 위원장을 초청했다는 것이고, 그 가운데 핵심이 창지투 계획의 ‘통 큰 합의’라는 게 베이징 외교가의 분석이다.

아울러 중국은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 ‘미해결’로 한반도 긴장 상황이 여전한 가운데 이를 남북대화와 북미대화에 이은 북핵 6자회담 재개 카드로 해결한다는 인식으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서고 있어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