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내 고엽제 살포기간 美기록 엇갈려

한국내 고엽제 살포기간 美기록 엇갈려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9: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식 기록 “1968~1969년”..보훈부 보상결정문 “1962~1970년”

지난 1960년대 비무장지대(DMZ)에서 사용된 고엽제와 관련한 갖가지 주장이 잇따르는 가운데 고엽제 살포기간에 관한 미국 정부의 기록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미 보훈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련 보상규정에 따르면 지난 1968년 4월 1일부터 1969년 7월 31일 사이에 한국에 파견된 미군이 고엽제(에이전트 오렌지)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한ㆍ미 양국이 공식적으로 밝혀온 제초제 살포기간인 1968년 4월 15일~5월 30일, 1969년 5월 19~7월 31일을 근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 2009년 11월 보훈부가 주한미군으로 활동한 한 골수종 환자(용산기지 335정비부대서 근무)에게 발송한 보상판결 통지문에는 “에이전트 오렌지, 에이전트 블루, 모뉴론 등의 제초제가 1962년부터 1970년까지 한국에서 사용됐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 보훈부는 “미 육군으로부터 지난 2008년 8월 전달받은 서한에 따르면 1962년부터 1970년까지 DMZ와 주한 미1군단 사령부, 한국군 1군 사령부 지역에서 각종 제초제가 스프레이 등을 통해 뿌려졌다”고 확인했다.

만약 이 통지문의 기록이 사실이라면 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해온 것보다 오랜 기간 제초제가 한국에서 사용됐다는 것을 의미해 향후 보상문제 등을 놓고 논란의 소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퇴역 주한미군들의 인터넷 사이트인 ‘한국전 프로젝트’(Korean War Project)의 게시판 등에는 1960년대 초반에 한국에 파병된 전 주한미군과 가족의 고엽제 노출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남편이 1960년대 초 DMZ에서 근무했다는 린다 화이트사이드 씨는 지난 28일 “남편이 골수이형성증후군(MDS)과 폐질환으로 숨졌다”면서 “고엽제가 1961년이나 1962년 그 지역에서 사용됐는지 알고 싶다”는 글을 올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