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학계의 거물인 즈비그뉴 브레진스키(84)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한국 등 8개 국가를 미국의 쇠퇴로 지정학적 위기가 심화된 지역으로 꼽았다. 8개 국가는 한국 이외에 타이완과 그루지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스라엘 및 중동 지역 등 미국이 오랫동안 정세에 개입해 온 곳이다.
‘세계의 보안관’을 자처해 온 미국이 재정난 탓에 국방예산을 크게 줄이면서 그 여파가 모든 대륙에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이다. 여기에 국제사회에서 중국과 인도의 영향력 증가와 러시아의 부활 등이 이들 지역의 지정학적 위협을 가중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브레진스키는 5일 미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P)에 기고한 글에서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남한 안보의 보증인 역할을 했다.”면서 “눈부신 경제성장과 정치 민주화를 이룬 한국은 미국 개입 정책의 성공을 증명하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은 최근 몇년간 천안함 폭침 등 도발을 계속해 지역 내 불안을 키웠다. 브레진스키는 “미국의 쇠퇴로 한국은 고통스러운 선택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날로 커지고 있는 중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받아들이고, 핵으로 무장한 북한을 통제하기 위해 중국에 더욱 의존하거나 혹은 역사적으로 껄끄러운 일본과의 연대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다른 아시아 국가인 타이완도 미국의 영향력 감소로 중국의 직접적인 압력에 더욱 노출되게 됐다고 설명했다.
브레진스키는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놓인 소국의 안보 환경도 우려했다. 특히, 영토 문제를 두고 2008년 러시아와 전쟁을 벌인 그루지야는 미국의 쇠락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은 1991년 이후 그루지야에 30억 달러(약 3조 4500억원)를 원조했으며 이 가운데 10억 달러는 2008년 러시아와의 전쟁 이후 지원됐다. 그는 “미국의 쇠퇴가 자신의 옛 영토를 되찾으려는 러시아의 요구를 자극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는 미국의 견제가 사라진 상황에서 자국에 정치·경제적으로 의존하는 벨라루스를 재흡수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재자 역할을 해온 미국의 국제적 입지가 줄면서 중동이 다시 한번 세계의 화약고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브레진스키는 평가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세계의 보안관’을 자처해 온 미국이 재정난 탓에 국방예산을 크게 줄이면서 그 여파가 모든 대륙에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이다. 여기에 국제사회에서 중국과 인도의 영향력 증가와 러시아의 부활 등이 이들 지역의 지정학적 위협을 가중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브레진스키는 5일 미 외교전문지인 포린폴리시(FP)에 기고한 글에서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남한 안보의 보증인 역할을 했다.”면서 “눈부신 경제성장과 정치 민주화를 이룬 한국은 미국 개입 정책의 성공을 증명하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북한은 최근 몇년간 천안함 폭침 등 도발을 계속해 지역 내 불안을 키웠다. 브레진스키는 “미국의 쇠퇴로 한국은 고통스러운 선택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날로 커지고 있는 중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받아들이고, 핵으로 무장한 북한을 통제하기 위해 중국에 더욱 의존하거나 혹은 역사적으로 껄끄러운 일본과의 연대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다른 아시아 국가인 타이완도 미국의 영향력 감소로 중국의 직접적인 압력에 더욱 노출되게 됐다고 설명했다.
브레진스키는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놓인 소국의 안보 환경도 우려했다. 특히, 영토 문제를 두고 2008년 러시아와 전쟁을 벌인 그루지야는 미국의 쇠락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은 1991년 이후 그루지야에 30억 달러(약 3조 4500억원)를 원조했으며 이 가운데 10억 달러는 2008년 러시아와의 전쟁 이후 지원됐다. 그는 “미국의 쇠퇴가 자신의 옛 영토를 되찾으려는 러시아의 요구를 자극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는 미국의 견제가 사라진 상황에서 자국에 정치·경제적으로 의존하는 벨라루스를 재흡수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재자 역할을 해온 미국의 국제적 입지가 줄면서 중동이 다시 한번 세계의 화약고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브레진스키는 평가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1-0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