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독도 표기 ‘시마네현 다케시마’로 변경

日언론, 독도 표기 ‘시마네현 다케시마’로 변경

입력 2012-08-22 00:00
업데이트 2012-08-22 08: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李대통령 독도 방문 후 NHK 등에 확산

일본의 주요 매체 사이에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계기로 독도를 ‘’시마네(島根)현 다케시마(竹島)’로 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2일 연합뉴스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검색해 확인한 결과, 일본 공영방송인 NHK는 지난 10일부터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관련한 내용을 보도하면서 ‘시마네(島根)현 다케시마(竹島)’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일에는 ‘시마네현 다케시마’와 ‘다케시마’가 혼재했으나 이튿날인 11일 이후에는 대부분의 기사에 ‘시마네현 다케시마’로 표기했다. 일부 ‘일본해의 다케시마’라고 적은 기사도 있다.

이 방송사는 7월31일까지는 관련 기사에서 ‘다케시마’나 ‘일한(日韓)이 영유권을 다투는 다케시마’라고 표현했다. 8월1∼9일에는 독도 관련 기사가 없었다.

NHK 이외에 요미우리신문, 마이니치신문, 도쿄신문 등 다른 주요 매체에도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시마네현 다케시마’ 표기가 등장하면서 ‘다케시마(한국명 독도)’, ‘다케시마’와 혼용되고 있다.

시마네현은 지난 1905년 2월22일 현 고시로 독도를 자체 영토로 일방 편입했으며, 2005년 3월에는 ‘다케시마의 날’(매년 2월22일)까지 제정했다.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전에는 일본 주요 매체 가운데 보수 우익지인 산케이신문이 유일하게 ‘시마네현 다케시마’라는 표현을 사용해 왔다.

일본 주요 매체들이 ‘시마네현 다케시마’라는 ‘산케이식’ 표기를 사용하고 나선 것은 독도가 시마네현의 부속 도서에 속한 일본 영토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NHK 등이 독도 표기를 바꾼 이유가 회사 내부 지침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NHK 홍보부 관계자는 “회사 입장에서 지금 말할 수 있는 것은 뉴스 표현은 기사별로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시마네현 다케시마’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라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마네현 다케시마’라는 표기가 일본 내 민족주의를 자극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