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고교 해커양성 프로그램에 軍자금 투입 논란

美고교 해커양성 프로그램에 軍자금 투입 논란

입력 2012-10-08 00:00
업데이트 2012-10-08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에서 정부에 도움을 줄 해커들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에 국방부 예산이 투입되는 것과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州) 16개 고등학교는 정부의 지원으로 올가을부터 ‘21세기를 위한 기술’이라는 명칭의 실험적인 워크숍을 시작했다.

이 워크숍은 학생들의 사이버보안 교육에 관한 것으로, 최근 규모가 커지는 ‘해커스페이스’를 본떠 만든 것이다. 해커스페이스는 해커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활동을 하는 일종의 공동체를 말한다.

해당 프로그램에는 1천만달러(약 111억원)의 자금이 투입되며 앞으로 3년에 걸쳐 1천개 고등학교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일반적인 해커들과는 다르게 정부와 일하는 해커들은 자신의 호기심을 해커스페이스에서 풀고자 하는 컴퓨터 전문가들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해커스페이스가 혁신을 불러오는 전도유망한 부화장치로서 이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이번 워크숍 역시 유망한 기술자와 컴퓨터 과학자들을 모집하는 온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여기에 쓰이는 자금의 출처가 미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해커들과 긴밀한 관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국방부가 자금 조달을 빌미로 워크숍 자체를 통제하고 장악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견해들이 나오는 것이다.

프로그램 자금 출처를 둘러싼 논쟁은 올여름 뉴욕에서 열린 ‘지구 상의 해커들’(HOPE) 회의에서도 불거졌다.

뉴욕의 해커스페이스 ‘알파 원 랩스’의 숀 오리티는 “셀러리를 붉은색 물에서 키우면 그 셀러리도 붉은색이 된다”면서 “DARPA의 돈이 이 프로젝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DARPA가 자금 조달을 통해 더 많은 해커를 군사 프로젝트로 끌어갈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샌프란시스코의 해커스페이스 ‘노이즈브리지’의 공동창립자인 미치 올트먼은 “이 프로그램을 학교에서 시행하는 것은 환상적이지만, 군이 교육을 통제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군 자금이 투입되면 해커들이 자신의 열정을 따르지 않고 거대 기업이나 기관들에 매력적일 만 한 프로젝트만 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