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류 미국인 한국전 참전 사실 문제 된 듯”

“억류 미국인 한국전 참전 사실 문제 된 듯”

입력 2013-11-21 00:00
업데이트 2013-11-21 14: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들 CNN 인터뷰…체포 전 당국 복무기록 언급

지난달 말 북한에 억류된 고령의 미국인 관광객 메릴 뉴먼(85)이 한국전 참전 사실 때문에 검거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먼의 아들인 제프는 20일(현지시간) 미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억류 하루 전 북한 당국자 1∼2명이 부친을 찾아 과거 군 복무 기록에 대해 언급했다면서 이처럼 주장했다.

뉴먼은 한국전 참전 때문에 북한에 관심을 두고 열흘 일정으로 이번에 여행을 갔다.

그는 지난달 26일 평양공항에서 귀국을 위해 베이징행 비행기를 탔다가 불과 출발 5분 전 검거돼 지금껏 20여 일 동안 억류된 것으로 전해졌다.

제프는 “북한 당국이 한국전 참전 기록을 언급해 부친이 다소 언짢았을 것으로 본다”며 그래도 여행사나 부친은 억류 전까지 이 사실이 문제가 될 줄 전혀 몰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아버지는 북한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힌 중국 여행사를 통해 여행을 갔고 관련 비자도 모두 받았다”면서 부친의 무고를 강조했다.

뉴먼은 심장 질환을 앓고 있으며 불과 며칠 분의 약만 들고 북한에 입국했다. 뉴먼의 가족은 스웨덴 외교관을 통해 추가로 심장병 약을 전달했지만 제대로 뉴먼이 약을 받았는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캘리포니아 팔로알토 출신인 뉴먼은 1950년 명문 버클리 캘리포니아 주립대를 졸업하고 같은 해 입대해 한국전에 보병 장교로 참전했다.

그는 참전 이후 고국에서 정보기술(IT) 업체의 임원으로 근무하다 1984년 퇴직해 세계 각지를 여행했고 이번 북한 여행을 위해서는 한국어 강습까지 미리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으로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은 2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국계 미국인인 케네스 배는 작년 11월 북한에서 검거돼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하고 있다.

북한은 뉴먼의 억류를 아직 공식적으로 시인하지 않았다. 미 국무부도 CNN의 인터뷰 보도에 관해 사실확인을 거부했다.

그러나 제프는 “아버지가 억류됐다는 사실을 안 직후부터 국무부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