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스타틴 계열의 콜레스테롤 저하제가 듣지 않는 사람은 동맥경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언 보건의료연구소(South Austrailian Health & Medical Research Institute)가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심장병) 환자 총 647명이 대상이 된 7편의 연구논문을 종합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와 의학뉴스 포털 메디컬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6일 보도했다.
이 환자들은 스타틴이 투여되기 시작한 이후 18~24개월에 걸쳐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과 함께 초음파검사를 통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내부의 상황 변화에 대한 추적관찰이 진행됐다.
이들 중 20%는 동맥을 협착 시키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아주 조금 낮아지거나 변함이 없거나 오히려 높아졌다.
이들은 또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동맥경화의 진행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스타틴이 듣지 않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과 이들을 위해 새로운 콜레스테롤 저하제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종합분석을 주도한 스티븐 니콜스 박사는 지적했다.
따라서 의사들은 스타틴의 처방에 그칠 게 아니라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지속적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미국심장학회(AHA)와 미국심장병학회(ACC)는 ▲앞으로 10년 안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있는 40-75세 사람들 ▲심장발작, 뇌졸중, 미니 뇌졸중(일과성 허혈발작), 협심증, 동맥질환 병력이 있거나 스텐트시술을 받은 사람 ▲ LDL 혈중수치가 190mg/dL 이상인 사람 ▲40~75세의 1형 또는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중간 정도 내지는 고용량의 스타틴을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지침은 그러나 LDL 감소에 특정 목표 수치를 설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LDL을 어느 수치까지 내리는 것이 가장 좋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이 연구결과는 “동맥경화-혈전-혈관생물학’(Arteriol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언 보건의료연구소(South Austrailian Health & Medical Research Institute)가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심장병) 환자 총 647명이 대상이 된 7편의 연구논문을 종합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와 의학뉴스 포털 메디컬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6일 보도했다.
이 환자들은 스타틴이 투여되기 시작한 이후 18~24개월에 걸쳐 혈중 콜레스테롤 측정과 함께 초음파검사를 통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내부의 상황 변화에 대한 추적관찰이 진행됐다.
이들 중 20%는 동맥을 협착 시키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아주 조금 낮아지거나 변함이 없거나 오히려 높아졌다.
이들은 또 콜레스테롤 수치가 개선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동맥경화의 진행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스타틴이 듣지 않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과 이들을 위해 새로운 콜레스테롤 저하제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종합분석을 주도한 스티븐 니콜스 박사는 지적했다.
따라서 의사들은 스타틴의 처방에 그칠 게 아니라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지속적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미국심장학회(AHA)와 미국심장병학회(ACC)는 ▲앞으로 10년 안에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있는 40-75세 사람들 ▲심장발작, 뇌졸중, 미니 뇌졸중(일과성 허혈발작), 협심증, 동맥질환 병력이 있거나 스텐트시술을 받은 사람 ▲ LDL 혈중수치가 190mg/dL 이상인 사람 ▲40~75세의 1형 또는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중간 정도 내지는 고용량의 스타틴을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지침은 그러나 LDL 감소에 특정 목표 수치를 설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LDL을 어느 수치까지 내리는 것이 가장 좋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이 연구결과는 “동맥경화-혈전-혈관생물학’(Arteriol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