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 납치문제 비공식 협의”…교착상태서 돌파구 찾나

“북일, 납치문제 비공식 협의”…교착상태서 돌파구 찾나

입력 2015-07-02 09:12
업데이트 2015-07-02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언론, 납치문제 특위 발족 1년 앞두고 ‘북일 접촉’ 보도

북한과 일본의 당국자가 최근 일본인 납치 문제를 물밑에서 협의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지난달 20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납치 문제 재조사에 관해 비공식 협의했다고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일본 정부는 당시 협의에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오노 게이이치(小野啓一) 외무성 북동아시아과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은 북한에 조사 결과의 신속한 제시를 요구하고 납치 피해자에 관한 정보 제공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북한이 특별조사위원회 발족 1년을 맞는 이달 4일 이후에도 납치 문제 관련 조사를 계속하는 방안에 관해 일본 정부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북한과 일본은 작년 5월 말 납치 문제 재조사 및 대북 독자 제재의 일부 해제 구상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같은 해 7월 4일 특별조사위원회를 발족했다고 밝혔고 일본은 인도적 목적의 북한 선박 일본 입항 금지, 양국 간 인적 왕래 제한, 북한에 한해 특별히 책정된 송금 보고 의무 등 독자 제재를 풀어줬다.

일본 정부는 1년 내에 조사를 마무리하되 작년 여름이 끝날 무렵부터 가을이 시작할 무렵에 북한이 조사 진행 내용에 관해 ‘첫 보고’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그러나 북한과 일본은 보고 내용이나 방식 등에 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결국 첫 보고는 특별조사위원회 발족 1년이 되도록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북한산 송이 불법 수입 사건을 수사해 허종만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의장의 차남을 지난달 구속 기소했다.

이는 납치 문제와 관련해 북한을 압박하려는 조치라는 해석을 낳았다.

북한 내 단체들은 허 의장 차남 등에 대한 수사가 북일 수교 추진 방침 등을 확인한 평양선언과 납치문제 재조사 합의에 돌이킬 수 없는 악영향을 끼치며 이는 전적으로 일본 정부의 책임이라고 반발했다.

북한과 일본이 물밑 접촉을 했다는 보도가 사실이라면 북일 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특별조사위원회 발족 1년을 앞두고 양측이 타개책을 모색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