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국 대표들 앞에서 “바꿀 건 바꿀 것” 거부권 행사 자제 입장 대치… 진통 예상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를 상대로 버럭 화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말까지인 자신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안보리 개혁이 지지부진한 상황을 질책한 것이다.24일(현지시간) 유엔 소식통들에 따르면 반 총장은 최근 안보리 15개 이사국 대표들과 오찬을 한 자리에서 언성을 높이며 “내 임기가 이제 1년 2개월밖에 남지 않았지만 그래도 바꿀 것은 바꾸고 개혁할 것은 개혁하고 떠나겠다”고 말했다. 평소 화를 내지 않고 좀처럼 싫은 소리를 하지 않는 반 총장이 목소리를 높인 것은 이례적이다. 반 총장은 취임 이후 매달 안보리 이사국 대표들과 점심을 함께하며 안보리 활동 상황을 점검해 왔다.
반 총장은 이어 “안보리가 해야 할 일을 너무나 하지 않고 있다. 안보리 운영 방식을 반드시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질책했다. 반 총장이 전례 없이 크게 화를 내며 이같이 지적하자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을 포함한 15개 이사국 대표들은 적잖이 당황하며 놀란 반응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반 총장이 언성을 높인 이유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대립이 장기간 격화하는데도 안보리가 손을 놓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리는 이-팔 대립이 격화하는 중에 가장 낮은 수준인 ‘언론 성명’을 한 차례만 발표했다. 반 총장이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깜짝 방문한 것도 안보리의 ‘복지부동’에 대한 반응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반 총장의 실제 표적은 5개 상임이사국이다. 이들 국가는 자국 이해관계에 따라 거부권을 행사하는 등 사태 해결에 나서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론의 비난이 높아지자 프랑스, 영국은 거부권 행사를 자제하는 쪽으로 안보리 운영 방식을 바꾸자는 입장이지만 미국, 중국, 러시아의 반대로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반 총장이 남은 임기 동안 안보리 개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보이지만 유엔 내 최대 권력인 안보리 개혁은 쉽지 않아 보인다. 게다가 반 총장은 잦은 해외 출장으로 1년 중 3분의1만 유엔본부에 머물며 안보리 개혁 등 내부 현안 해결은 소홀히 한다는 지적도 받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10-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