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30달러대로 폭락…산유국들 부도위험 급상승

국제유가 30달러대로 폭락…산유국들 부도위험 급상승

입력 2015-12-03 11:29
수정 2015-12-03 1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유가 14년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하락

산유국들의 부도위험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국제유가가 14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떨어져 배럴당 30달러대를 기록할 정도로 폭락했기 때문이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2일(현지시간) 전날보다 4.9% 폭락해 3개월여 만에 다시 배럴당 30달러대로 내려앉았다.

오는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회의에서 또다시 감산합의가 나오기 어렵다는 전망이 많다. 이에 따라 유가가 배럴당 20달러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작년 OPEC 회의 때에도 별다른 합의를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였지만 막상 실제로 감산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가 배럴당 70달러대에서 60달러대로 무려 8.6% 폭락했었다.

◇ WTI 30달러대로 폭락…산유국 부도위험 급증

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전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월물 WTI가격은 전거래일보다 4.6%(1.91달러) 폭락한 39.9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가 종가 기준으로 30달러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8월 26일 이후 처음이다.

지난 8월 24일에 올 들어 최저점인 배럴당 38달러를 찍은 WTI는 이후 40달러대에서 오르락내리락하다가 다시 30달러대로 내려갔다.

국제 유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12월 배럴당 32.40달러까지 떨어진 바 있으며, 금융위기 직전인 그해 7월에는 145달러까지 올랐다. 현재 유가는 2008년 7월 고점 대비 70% 가량 하락한 상태다.

미국 셰일가스 붐으로 촉발된 글로벌 원유생산 경쟁에 따라 국제유가는 WTI 기준으로 작년에 45.9% 하락한데 이어 올해도 20% 넘게 떨어졌다. 이에 따라 IT 버블 붕괴로 세계경제가 침체됐던 2000∼2001년 이후 14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하락했다.

사상 초유의 저유가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산유국들의 부도위험이 급상승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WTI 평균가격은 배럴당 53.34달러, 하반기에는 40달러대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8월 유가가 저점을 찍은 뒤 최근 3개월간 68bp(1bp=0.01%) 뛰어 3일 오전 11시 현재 158bp까지 상승했다.

CDS프리미엄은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금융파생상품으로, 부도 확률이 높으면 오르고 낮으면 떨어진다.

바레인의 CDS프리미엄은 350.80bp로 55.8bp 치솟았고, 카타르는 85.86bp, 아부다비는 84.73bp로 각각 21.6bp와 20.4bp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베네수엘라의 CDS프리미엄은 4132.42bp로 지난 9월 28일 기록한 역대 최고치 6458.8에 비해서는 내렸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높았다. 인도네시아의 CDS프리미엄도 226.29bp로 지난 9월 29일 기록한 역대 최고치 287.0bp보다는 떨어졌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대우증권 손재현 연구원은 “국가수입의 거의 전부를 원유에서 확보하는 베네수엘라는 부도확률이 90% 이상”이라며 “알제리나 리비아, 나이지리아, 앙골라, 에콰도르 등 OPEC 국가 중 중소국가들이 아무래도 원유 판매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OPEC회의 앞두고 “유가 20달러 가나” 우려 고조

오는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OPEC 정례회의를 앞두고 유가가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OPEC 국가들이 예상대로 감산 합의에 실패하고 생산 및 가격경쟁을 지속하겠다는 결론을 내놓을 경우 유가가 또다시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감산결정의 키를 쥐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등은 생산비가 높은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을 견제하면서시장 점유율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작년 11월 28일 OPEC 정례회의에서 회원국들이 감산합의에 실패하자 WTI는 하루만에 배럴당 74.67달러(26일)에서 68.38달러(28일)로 8.6% 곤두박질 쳤다.

이후에도 유가는 급락세를 지속해 같은 해 12월 중순 50달러대로 떨어졌다.

더구나 올해는 OPEC 회원국인 이란이 서방의 경제제재조치에서 벗어나면 원유수출을 현재 하루 110만배럴에서 당장 160만배럴로, 추후에는 220만 배럴까지 늘리겠다고 밝힐 예정이다.

인도네시아가 7년 만에 OPEC에 다시 가입하면서 기술적 측면에서 OPEC의 생산목표가 현행 하루 3천만배럴에서 3천100만배럴로 상향조정될 것이라는 점도 유가의 추가하락 요인이다.

국제금융센터 오정석 원자재팀장은 “OPEC이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감산합의에 실패하고 생산 및 가격경쟁을 지속하겠다는 결론을 내놓을 경우 유가가 또다시 큰 폭으로 하락할 전망”이라며 “가능성은 낮지만, 감산에 합의할 경우 일시적으로 강한 반등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CNBC방송이 지난달 20∼30일 원유시장 전문가 24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24명 전원은 OPEC 국가들이 감산합의에 실패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중 다수는 국제유가가 향후 추가로 하락해 내년 상반기(전체의 46%)나 올 연말(29%)에 바닥을 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최저점 수준이라고 답변한 이들은 21%에 불과했다.

블룸버그가 애널리스트 39명을 상대로 집계한 바에 다르면 올해 4분기 WTI 전망치는 평균 47달러, 내년 1분기 48달러, 내년 2분기 54달러, 내년 3분기 57달러, 4분기 60달러다.

씨티그룹은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WTI 전망치가 39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내년에도 원유 과잉생산이 지속되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최저 20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가부도 사태에 직면한 OPEC 회원국인 베네수엘라의 율로지어 델 피노 석유장관도 지난달 22일 “OPEC이 국제유가 안정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유가가 배럴당 20달러 중반대로 폭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