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세계 식중독 사망자의 30%는 5세 이하 어린이”

WHO “세계 식중독 사망자의 30%는 5세 이하 어린이”

입력 2015-12-03 20:02
업데이트 2015-12-03 2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보건기구(WHO)는 3일(현지시간) 전 세계에서 식중독에 걸려 숨지는 사람의 30%가 세계 인구의 9% 정도를 차지하는 5세 이하 어린이들이라고 밝혔다.

WHO는 이날 상한 음식이 건강과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보고서를 통해 매년 6억 명이 박테리아·바이러스·기생충·독극물·화학물질 등 31개 요인에 의해 오염된 음식물로 식중독에 걸리고 이 중 42만 명이 숨진다면서 이 중 12만 5천 명은 5세 이하 어린이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말했다.

마거릿 첸 WHO 사무총장은 “지금까지 식중독의 피해 상황은 단지 추정될 뿐이었으나 이번 보고서를 통해 정확하게 밝혀졌다”면서 “어떤 식중독균이 가장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지 알게 되면 이를 목표로 구체적 행동을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식중독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지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5세 이하 어린이를 포함해 특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

WHO 식품안전 담당국장인 카주아키 미샤기시마 박사는 “100명 이상의 전문가를 투입해 전 세계적인 식중독 실태를 처음으로 집계했다”면서 “식중독은 전 세계 공통적이지만 저소득 지역의 5세 이하 어린이에게 상당히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전 세계 설사 관련 질병의 절반 이상이 식중독에 원인이 있으며 이 때문에 매년 어린이 2억 2천 명을 포함해 5억 5천 명이 설사 관련 질병에 걸리고 어린이 9만 6천 명 등 23만 명이 숨진다고 설명했다.

설사 관련 질병은 노로 바이러스·캄필로박터·살모넬라균·대장균 등에 오염된 생고기나 계란, 우유 관련 제품 등을 먹게 될 때 걸린다.

그 외 식중독의 다른 요인은 장티푸스·A형간염 바이러스·갈고리 촌충·곡물의 곰팡이가 내는 발암성 독소인 아플라톡신 등이다.

살로렐라균에 의한 식중독은 전 세계 의학계 공동의 관심사이지만 장티푸스· 대장균 등에 의한 식중독은 저소득 국가에서, 캄필로박터는 고소득국가에서 식중독의 중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세계 각국 정부와 식품업계 그리고 개인은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에 더욱 유의해야 하며 식품 유통·공급업체 종사자들에 대한 식중독 예방 교육을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