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딜런의 노래가 의학논문 213편 제목에 사용된 이유

밥 딜런의 노래가 의학논문 213편 제목에 사용된 이유

입력 2015-12-16 15:40
업데이트 2015-12-16 15: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람만이 알려나?”…스웨덴 연구진 세계 과학학술지 조사 ‘노킹 온 헤븐스 도어’ 살짝 변형한 생명과학논문 제목 등

반전과 평화를 노래하고, 더 나은 세상을 희구해온 미국의 전설적 포크가수 밥 딜런.

세계적 권위의 의학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은 딜런의 노래가 세계 주요 과학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등 의학문헌 213편의 제목으로 사용됐다는 내용의 이색 논문을 게재했다.

이 논문 제목은 ‘자유분방한((Freewheelin’) 과학자들 : 생체의학 문헌에 밥 딜런 인용하기’다.

스웨덴의 명문 의과대학 겸 연구기관인 카롤린스카연구소(KI)의 연구진이 발표한 이 논문 제목에 쓰인 단어 ‘프리휠링’(Freewheelin’) 역시 딜런의 2집 앨범 제목으로 사용된 것이다.

16일 이 논문에 따르면, 딜런의 노래 중 가장 많이 차용된 노래는 ‘더 타임스 데이 아 어 체인징’(The Times They Are a-Changin‘)이다. 무려 135개 의학 학술문헌 제목에 차용됐다.

2위는 36개 문헌에 사용된 ’블로잉 인 더 윈드‘(Blowin’ in the Wind)다.

발표자 국적은 미국이 가장 많았고 스웨덴이 그 뒤를 이었다. 대부분 미국과 유럽 과학자들이었다.

딜런 노래 제목이 의학 논문 제목에 처음 사용된 것은 1970년이다. 딜런의 데뷔 앨범이 나온 지 불과 8년 뒤 미국 임상간호학회지에 실린 논문에서였다.

딜런의 전성기였던 1970년대에 드문드문 사례가 이어지다 1990년대부터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자연과학자들이 딜런의 노래를 이토록 자주 차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연구진은 우선 과학자 중에도 팬이 많고, 이 ‘시대를 읊는 음유시인’의 철학적 가사가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서일 것으로 설명했다.

딜런이 의사를 존경했고 의학자들도 ‘화답하듯’ 좋아한 것 아니냐는 농담도 곁들였다.

1980년대 초반에 발표한 ‘돈 폴 어파트 온 미 투나잇’(Don’t Fall Apart on me Tonight)엔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바라기를 내가 의사가 되었더라면 / 목숨을 잃은 사람들 가운데 / 일부의 생명을 구했을 텐데 / 이 세상에서 좋은 일도 좀 했을 텐데 / 내가 건넌 다리들을 불태우는 것 같은 일을 하는 대신...”

1960~1970년대에 그의 노래를 즐겨 듣던 급진적이고 자유분방한 대학생들이 1990년대부터 대거 의사나 과학자, 학술지 편집진이 됐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또 이 무렵부터 과학논문 발표나 국제학술지 발행이 급증했다.

그럼에도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는 것이 저자들의 고백이다. 이들은 앞으로 아바와 비틀스 등의 사례도 조사하는 등 추가 연구를 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어쩌면 딜런의 노래 가사처럼 ‘바람만이 그 답을 알지도’ 모른다.

저자들의 소개로는, 밥 딜런 노래는 주로 원 제목 그대로 또는 살짝 변형된 채 삽입됐다.

예컨대 ‘라이크 어 롤링 스톤’(Like a rolling stone)은 한 생명과학 분야 논문에서 ‘구르는 히스톤 단백질처럼’(Like a rolling histone)으로 재미있게 비틀어 사용됐다.

‘노킹 온 헤븐스 도어’(Knockin‘ On Heaven’s Door)는 아라비도프시스 꽃가루 조기 편광화 생체 이미지와 관련된 논문 제목에서 ‘꽃가루의 문 두드리기’(Knockin’ on pollen’s door) 식으로 살짝 변형됐다.

1975년 발표한 앨범 제목 ‘블러드 온 더 트랙스’(Blood on the tracks)와 여기에 실린 곡 ‘심플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Simple Twist of Fate)는 ‘골수세포에서 나온 뉴론(신경세포)들의 세대 : 궤도 위의 혈액, 운명의 단순한 뒤틀림?’이라는 제목의 뉴론 연구 논문에 뒤섞여 사용됐다.

‘화상(火傷)’학회지는 시대의 변화와 관련된 편집인 글에서 제목 뿐 아니라 내용 곳곳에 딜런의 노래를 그대로 인용하거나 패러디해 삽입하기도 했다.

저자들이 이번 논문을 쓰게 된 계기는 지난해 일어난 한 ‘사건’에서 비롯됐지만, 그 단초는 거의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KI의 과학자 욘 룬드버그와 에디 바이츠베르그는 1997년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질소산화물과 염증: 대답은 부는 바람 속에’(Nitric Oxide and Inflammation: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라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

당시 호흡기관과 내장 속 질소산화물 측정과 관련한 공동 연구를 한 두 사람은 모두 딜런 팬이었으며 논문 제목에도 딱 들어맞는다고 여겨 그의 히트송 ‘블로잉 인 더 윈드’(Blowin‘ in the Wind)를 차용했다.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을 포함해 딜런의 팬인 KI 과학자 5명이 내기를 했다. 정년 전까지 주요 학술지에 발표하는 논문이나 리뷰, 책 소개 등의 제목에 밥 딜런 노래를 가장 많이 쓰는 사람에게 점심을 사주기로 한 것이다.

17년 동안 진행된 이 내기는 지난해 옌스 야콥이 은퇴하며 우승자가 되면서 끝났다. 5명은 동네 식당에서 ’우승 턱‘인 점심을 함께 들었다.

때마침 KI 도서관 사서 카를 예르니츠키는 이 연구소 과학자 두 명이 쓴 공동 논문 제목이 밥 딜런의 노래에서 따온 듯하다는 생각을 했다.

논문 제목은 ’비(非)신경세포의 뉴론 생성 능력 : 궤도 위의 혈액. 운명의 단순한 비틀기?‘였다. 이들과 접촉해보니 ’17년 내기 참여자들‘이었고 실제 밥 딜런 노래 제목에서 따온 것이었다.

이 사연이 KI 회보에 실리고 이어 지역 신문 등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예르니츠키는 이를 계기로 KI 외의 세계의 과학자들도 밥 딜런을 논문 제목에 인용했는지 궁금해졌다. 곧 연구소 교수 및 동료 통계학자와 함께 조사에 착수했다.

밥 딜런 홈페이지(bobdylan.com)에서 딜런의 노래와 앨범 제목을 내려받아 세계 최대 의학문헌 소장처인 미국 보건부 산하 국립의학도서관의 온라인 검색도구 ’메들라인(MEDLINE)'을 이용했다.

노래 제목 일부가 포함된 문헌은 모두 727편이었으며 이 가운데 명백하게 밥 딜런 노래 차용으로 판정한 것은 213편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