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정부 “선전 산사태, 100m 높이 불법매립이 초래한 인재”

중국정부 “선전 산사태, 100m 높이 불법매립이 초래한 인재”

입력 2015-12-26 10:04
수정 2015-12-26 1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정부가 사망·실종 82명이라는 대규모 인명손실을 초래한 선전(深천<土+川>) 산사태를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人災)로 규정했다.

중국 국토자원부는 26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공식 계정을 통해 현장 조사 결과 이번 재해가 불법적으로 매립한 건축폐기물과 흙더미가 밀려 내려와 발생한 것으로 자연지형 구조에 의한 산사태가 아니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이번 참사는 안전 불감증이 초래한 산업인재라고 국토자원부 조사팀은 규정했다.

매립장에 100m 높이까지 쌓였던 흙더미와 폐기물이 사고 당일 내린 비로 토사로 변하며 경사를 타고 쏟아져 내려와 공단 건물을 덮쳤다는 것이다.

지난 20일 오전 선전 훙아오(紅요<土+幼>)의 건축폐기물 매립장 경사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가 인접한 광밍(光明)신구 류시(柳溪)공업원의 공단건물을 덮쳐 7명이 사망하고 75명이 실종됐다.

중국 정부는 사안이 위중하다고 보고 이번 주초 국토자원부가 주도하는 현장 조사팀을 구성해 파견했다.

조사 결과 매립장을 관할하는 현지 당국도 이런 안전상 문제를 이미 지난 7월부터 인지하고 매립장 운영업체인 이샹룽(益相龍)공사에 수차례 개선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당초 작년 2월부터 12개월 동안만 매립장 운영을 허가했지만, 이샹룽공사는 안전 및 관리 계획을 지키지 않은 채 운영을 계속하다가 지난 7월 당국에 적발됐다.

당국은 지난 9월에도 이샹룽공사를 상대로 매립장 면허 기간이 만료됐다며 매립 중단을 촉구하는 경고장을 보냈다. 이샹룽공사는 산사태 나흘 전에도 안전상 이유로 매립장 운영을 중단하라는 권고를 받았지만 이를 무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