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 “日정부, 조선인 징용노동 실태조사 착수”

아사히 “日정부, 조선인 징용노동 실태조사 착수”

입력 2016-07-21 15:32
업데이트 2016-07-21 15: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네스코에 한 약속 이행 차원…‘강제성’ 판단이 핵심

일본 정부가 과거 전쟁때 한반도에서 끌려간 강제징용 노동자들에 대한 첫 실태 조사를 진행중이라고 아사히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작년 7월 내각관방참여(총리의 자문역)로 발탁된 가토 고코(加藤康子)와 탄광 역사 연구자, 전직 검사, 한일관계를 전공한 역사학자 등이 과거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고용한 기업에 노무관리와 임금 기록의 제공을 요구하고 당시 노무 담당자의 증언을 수집중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이들은 ‘청취조사’ 형식으로 한국에 사는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이야기도 들을 예정이다.

이는 작년 7월,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이 동원된 해저 탄광이 있는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산업혁명 유산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을 때 일본 정부가 징용 노동자의 역사에 대해 참관객들에게 설명하겠다고 약속한데 따른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말까지 강제징용 노동자들의 역사를 어떻게 설명할지에 대한 방안을 유네스코에 제출한다.

아사히는 조사의 최대 포인트가 한반도 출신자 노동의 ‘강제성’에 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는 국제법에 어긋나는 ‘강제노동’이라는 입장인 반면 일본 정부는 식민지 조선에서 자국의 ‘국민징용령’에 입각해 징용한 것은 합법이라는 인식이어서 양측 간에 큰 간극이 있다.

이 때문에 조사를 맡길 전문가의 증원이 생각처럼 잘 되지 않고 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조사팀 참여를 거절한 대학교수는 아사히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에 있어 징용공의 강제성은 국민감정이 걸린 문제”라며 “(조사결과가) 한국의 견해를 전면 부정하게 되면 (한일간) 대립이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의 책임자인 가토의 성향을 감안할때 객관적인 조사가 이뤄질지에 대한 의구심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작년 하시마 탄광과 나가사키 조선소 등 일본의 근대 산업시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도록 하는 업무를 담당한 가토는 작년 9월 10일, 한반도 출신 징용자들 노동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한 바 있다.

그는 한국 시민단체 등이 일부 산업 시설에 한반도 출신 노동자가 동원돼 노역한 것이 나치 독일의 강제노동과 동일한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역사를 뒤트는 날조다. 일본의 이미지를 손상하려는 선전에 대항수단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자국 산업시설의 역사를 설명하는 문제에 대해 “제대로 역사를 마주 보고 한국이 말하는 대로가 아니라 일본으로서 확립한 계획을 제시하고 싶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