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동결 “단기리스크 감소”…9월 인상가능성 열어둬(종합)

美 기준금리 동결 “단기리스크 감소”…9월 인상가능성 열어둬(종합)

입력 2016-07-28 07:36
업데이트 2016-07-28 0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준 “경기둔화 막으려면 글로벌경제 위협요인·금융상황·물가 감시해야”

“고용시장 강화, 경제활동 완만 팽창” 9월 안되면 12월 인상 가능성

경기둔화를 야기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씻기지 않음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가 또 동결됐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27일(현지시간)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한 올해 5번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 기준금리인 0.25%∼0.50%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연준은 성명에서 “미국 경제가 점점 활기를 띠고 있고 경제 전망과 관련해 단기 리스크들이 감소했다”며 이르면 9월, 늦어도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마켓워치는 “이러한 언급은 대부분의 전문가들 예상보다 (금리인상) 조치의 가능성에 대해 강한 힌트”라고 풀이했다.

다만 연준은 정확히 언제 기준금리를 올릴지를 시사하는 힌트는 남기지 않았다.

올해 연준 회의는 9월과 11월, 12월 3차례 남아있다. 11월 회의는 미국 대선(11월 8일) 일주일 전이라 금리 인상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결국 금리 인상은 9월 또는 12월, 1차례 또는 2차례 가능하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다음 달 26일 연설에 관심이 모아진다.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금리 인상이 다음 회의가 열리는 9월에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하고 있다.

고용 상황이 6월처럼 호조를 보이고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세계경제의 불안이 안정된다는 전제에서다.

성명에서 연준은 미국 고용시장이 지난 5월 소폭 개선에 그친 데 이어 지난달 강세를 보였다는 점을 들어 “고용시장이 강화되고 있고, 경제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6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증가는 예상을 크게 웃도는 28만7천 개로 발표돼 미국 내 고용부진 우려는 대체로 사라졌다.

그러나 경기둔화를 막기위해서는 여전히 글로벌 경제의 위협요인들과 금융 상황, 물가지수 등을 여전히 감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기업 투자활동은 여전히 취약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연준의 주요 물가지표인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난 1월과 2월 1.7%를 기록한 뒤 3월부터는 계속 1.6%에 머물러왔다.

물가 목표치인 2%를 밑돌아 연준으로서는 미국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