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의 ‘쌍권총’…韓엔 사드보복, 대만엔 ‘무더기 수입불허’ 제재

中의 ‘쌍권총’…韓엔 사드보복, 대만엔 ‘무더기 수입불허’ 제재

입력 2017-03-03 15:28
업데이트 2017-03-03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사드 배치 철회하라…‘하나의 중국’ 원칙 인정하라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에 반발해 한국에 전방위 압박을 가하는 중국이 대만엔 ‘하나의 중국’ 원칙 인정을 요구하며 대만산 제품 수입을 무더기로 불허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3일 대만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대만산 쌀, 차, 시리얼 육포, 음료수 등 10개 품목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해 줄줄이 수입 불허 처분을 내렸다.

중국은 상품 증명서나 가공식품의 원재료 증명 미비, 승인 받지 않은 유전자변형 콩 성분 포함 등 다양한 사유를 들어 대만상품에 대해 수입불허 조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올해 1월 한 달 동안 중국이 수입을 거부한 식품 및 화장품 중 대만산 제품이 무려 4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독립성향으로 친미행보를 보이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 정권이 출범한 이래 중국에 대한 대만의 농산물 수출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12월 대(對) 중국 농산물 수출은 56만4천573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1%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대만은 지난 2월말 인도에서 열린 세계사격선수권대회(ISSF)에서도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운 중국 측의 압박을 받았다.

대만 대표팀은 당시 중국의 압력을 받은 주최측으로부터 정치인과의 접촉과 자국 국기 사용을 금지당했으며 ‘차이니즈 타이베이’ 명칭과 올림픽 국기만을 사용하기로 한 규정을 엄수하라는 특별 주문을 받았다.

중국은 연중 최대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도 대만에 대해 ‘하나의 중국’을 인정할 것을 거듭 요구하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왕궈칭(王國慶) 정협 대변인은 양회 개막을 하루 앞둔 지난 2일 “92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이 없다면 대만 측과 어떤 대화도 시작할 수 없다”며 대만에 하나의 중국 원칙부터 인정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대만 차이잉원 정부를 겨냥한 중국의 압박은 정치 외에도 교육, 무역 등 다른 부문에 대해서도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실제 타이베이에 위치한 스신(世新)대는 중국에 대만 독립이나 ‘하나의 중국’원칙을 흔드는 정치 활동을 포함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한 뒤에야 중국 대학생 11명을 초청, 학술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대만 교육부는 이날 스신대를 비롯해 대만 명문 국립대인 칭화(?華)대학 등 6개교가 ‘하나의 중국’ 서약서를 쓴 사실을 확인했고 추가적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은 지난달 27일 롯데그룹이 자사 경북 성주 소재 골프장을 사드 배치 부지로 제공키로 결정한 이후 관영매체들을 동원해 한국정부와 롯데그룹 등을 겨냥해 보복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한편 실제 중국 국민들이 롯데 등의 제품을 불매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