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푸틴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 입장 재확인

시진핑·푸틴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 입장 재확인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7-06-08 23:34
업데이트 2017-06-09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자흐스탄 SCO 정상회의 참석

中·러시아 정상 우호 관계 과시
50일간 3회 만나 ‘이례적 평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8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만나 한반도 상황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크렘린이 밝혔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둘러싸고 미·중·일·러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중·러 정상이 한 달도 채 안 돼 다시 만나 한반도 문제를 협의하면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등을 둘러싼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아스타나에서 이틀 일정으로 개막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시 주석과 별도로 만나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및 한반도 상황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아스타나에 도착한 뒤 시 주석과 가장 먼저 만나 이번 정상회의 기간 중 첫 양자회담을 가질 만큼 돈독한 관계를 과시했다. 유리 우샤코프 푸틴 대통령 외교담당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의 회담은 그리 길지는 않았다. 한 달 내 대규모의 (단독)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두 정상의 (회담) 의제는 상당히 광범위했다고 타스통신은 전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두 정상은 SCO 안에서 러·중 양국 간 협력에 대해 논의했으며 특히 한반도 상황에 대한 이슈를 제기했다”며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는 최근 상황에 초점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특히 미국의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러는 한반도 사드 부대에 포함되는 레이더 배치가 자국의 안보를 침해함은 물론 한국이 궁극적으로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에 편입할 것이라는 우려를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 특히 양국은 지난달 각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특사단을 만난 자리에서 사드 배치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이에 따른 사드 배치 문제가 한반도를 둘러싼 최대 안보 이슈로 떠오르면서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의 밀착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회담은 지난달 14일 중국에서 열린 ‘일대일로’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자회담을 가진 뒤 20여일 만에 이뤄진 것이며 다음달 3~4일에는 시 주석이 크렘린을 방문, 푸틴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50일 만에 정상회담을 세 차례나 갖는 이례적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7월 초 중·러 정상회담 전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사드 문제가 해소되지 않으면 중·러가 더욱 밀착해 각을 세우는 빌미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6~7월 잇따라 열리는 정상회담 외교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2017-06-09 1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