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네바 北대사 “억류자, 국제기준에 따라 대우” 주장

주제네바 北대사 “억류자, 국제기준에 따라 대우” 주장

입력 2017-06-21 11:20
업데이트 2017-06-21 1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엔 인권보고서 부인…웜비어·다른 억류자 언급은 피해

남북 이산가족 상봉 재개에 대해서는 “식당 종업원 송환이 먼저”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귀국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사망으로 북미관계가 크게 긴장된 가운데 북한이 자국에 억류된 외국인을 국내법과 국제기준을 준수해 대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대성 제네바 유엔 주재 북한대사는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지난주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웜비어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했다고 비판한 보고서 내용을 부인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지난 2월 한 대사가 부임하고 언론과 가진 첫 인터뷰다.

한 대사는 억류자 문제에 관해서는 전문가가 아니라면서도 “우리는 국내법과 국제기준에 따라 행동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웜비어나 한국·미국·캐나다 등 북한 내 다른 외국인 억류자에 대한 언급은 거부했다.

그는 킨타나 보고관의 발언에 대해 “현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수용할 수 없다”면서 “이미 말했듯 그는 (미국과 그 동맹국) 적대세력의 모범적인 종”이라고 말했다.

앞서 킨타나 보고관은 이달 13일 전격 석방된 웜비어가 혼수상태에 빠진 것을 두고 북한 내 억류자 인권 상황을 보여준다며, 북한이 그에 관해 분명히 설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한 대사는 미국과 다른 나라가 북한에 더 광범위한 추가 제재를 가할 가능성에 관해 질문하자 “나의 조국은 60년 넘게 미국의 제재를 받아왔다”며 “어떤 제재를 추가할지 몰라도 우리는 두렵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킨타나 보고관이 지적한 남북 이산가족문제에 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킨타나 보고관은 “시간이 없다”며 오는 8월 상봉을 재개하자는 한국의 제안을 지지했다.

한 대사는 2015년 10월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다시 논의하기 위해서는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일하다 탈북해 한국에 정착한 종업원들의 송환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려면 전례 없는 북한인 납치 책임자가 국제 사회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남한 당국이 더이상의 지체 없이 북한 여종업원들을 부모의 품으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중국 저장(浙江)성 닝보(寧波)에 있는 북한 식당(류경식당)에서 일하던 여성 종업원 12명이 남성 지배인과 함께 국내에 들어온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국 국가정보원이 이들을 유인·납치했다며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